[일요서울 | 양호연 기자]재테크를 위해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주목하던 2030 세대의 시선이 유튜브에 쏠렸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기업들도 유튜브 시장에 뛰어든 개인 창작자들을 눈 여겨 보기도 한다. 특히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를 육성 및 관리하는 다중채널네트워크(MCN) 업계에선 기업공개(IPO) 소식까지 들려온다. 진입장벽이 낮다는 장점으로 너도나도 시작하는 유튜브, 그렇다고 누구나 ‘대박’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일까.


- 과세 코드 신설...총 691명의 유튜버 사업자 등록
- 트렌드는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기업형 채널’로



유튜브에 세상이 담겼다. 물건 하나를 구매할 때도, 고민거리가 생겼을 때도 사람들은 유튜브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한다. 방대한 정보가 오가던 포털사이트의 카페나 블로그는 복잡한 가입절차와 등업 신청의 번거로움으로 슬슬 눈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반면 유튜브는 정보 취득이 비교적 쉬운 편이다. 검색어만 입력하면 누군가 정성스레 편집한 영상을 무료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다. 영상의 ‘주인’은 일정 기준만 충족하면 게시에 대한 댓가를 받게 되니 어찌 보면 서로에게 ‘윈윈(win-win)’인 셈이다. 나아가 팬데믹이 부른 언택트 시대는 유튜브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충분한 듯하다.

자아 실현의 수단
과세당국, 코드 신설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2030세대 대다수는 주식시장과 부동산 시장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최근에는 유튜브 시장에 대한 관심도 상당하다. 어떤 이들은 단순히 수익을 창출하는 공간을 넘어 자아실현의 수단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온라인상에 ‘자기만의 방’을 만들고 나선다. 직접 기획과 제작, 편집의 단계를 넘어 수익으로 까지 이어지니 매력적인 ‘세컨드 잡’인 모양새다. 이미 주요 포털사이트에는 ‘수익계산기’와 ‘유튜브 하는 법’이 유튜브의 연관검색어로 등록돼 있기도 하며 유튜버를 위한 출판물과 강의도 적지 않다.

유튜브 시장에 뛰어든 이들이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과세당국은 지난해 9월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코드를 신설하기도 했다. 이후 유튜버 총 691명이 사업자로 등록했다. 이 중에는 근로자나 시설이 없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면세사업자)’는 332명, 근로자와 시설을 갖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세사업자)’이 359명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천차만별
기업형 채널로 옮겨가


유튜버의 수입금액은 콘텐츠와 인지도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지난해 10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향자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귀속분 사업장 현황 신고를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 면세사업자’는 58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을 기준으로 할 때, 신고한 수입금액은 총 12억4100만 원 수준이다. 지난해 사업장 현황 신고를 제출한 ‘1인 미디어 창작자 면세사업자’ 58명의 평균 수입금액은 178만 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형 유튜버들은 월 평균 933만 원 수준을 기록하면서 5배 넘는 차이를 보였다.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장비 구매에 따른 비용과 노력 대비 큰 수익을 남기기 힘들다는 이유로 ‘유튜브 포기’ 선언 사례도 속출한다. 어찌 보면 낮은 진입장벽 만큼이나 퇴출의 장벽도 낮은 셈이다. 일례로 한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에는 상당수의 ‘유튜브 입문용 풀세트’가 연일 오르내리고 있다.

콘텐츠 트렌드가 변화한 점도 상당수의 유투버들의 포기 선언에 몫을 더한 모양새다. 그간 1인 미디어 플랫폼의 트렌드가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기업형 채널로 트렌드가 변화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업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지난해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간 국내 유튜브 시장에서 구독자 4만5000명 이상을 보유한 채널 9000여개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튜브 구독 트렌드는 1인 미디어 플랫폼에서 기업형 채널로 옮겨가는 추세로 나타났다. 유튜버 개인이 중심이 돼 콘텐츠를 제작, 공급하는 개인형 채널의 유튜브 점유율이 연초 대비 연말에 4.9%포인트(p)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기업형 채널의 점유율은 4.9%p 늘어난 것이다.

이를 두고 업계 전문가들은 급속한 성장을 이뤄온 유튜브 시장은 앞으로도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개성을 중시하던 1인 미디어의 트렌드가 기업형 트렌드로 옮겨가는 만큼, 유튜브 시장 고유의 매력이 남아 있을 가능성에는 의구심이 드는 시점이다.

정부, 불공정거래 조사·심리 강화

정부가 주식 시장에서 발생하는 불공정거래에 대한 조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급증한 개인 투자자들이 유튜브 등 SNS를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가 늘었는데, 이를 악용해 개인 투자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불공정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검찰은 지난 4일 2021년 제1차 ‘불공정거래 조사·심리기관 협의회(이하 조심협)’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심협은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조사 시스템을 구성하는 여러 기관이 모여 심리·조사 현황 및 이슈를 점검하고, 주요 협력과제를 추진해나가는 협의체다. 금융위와 금감원, 거래소, 검찰은 이날 열린 회의에서 조심협의 개최 주기를 분기별에서 매월로 단축하기로 결정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개인의 자본시장 참여가 급증해, 불공정거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개인투자자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불공정거래 세력이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정보 획득 채널로 활성화된 SNS·동영상플랫폼을 악용하는 사례도 빈번해진 만큼 신속하고 정확한 시장감시-적발-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유관기관이 협조체계를 공고히 구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조심협은 산하에 ‘불공정거래 동향 감시단’을 신설하고, 격주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불공정거래 동향 감시단은 최근 불공정거래의 특성과 투자자 유의사항 등을 분석해 공유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갈수록 첨단화·지능화되는 금융범죄에 대한 효율적 대응 및 신속한 증거 확보를 위해, 향후에도 금융위의 압수수색 권한을 적절히 활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