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철 편집국장
홍준철 편집국장

‘대통령 복심’이라는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이 예정일보다 빠르게 귀국했다. 그는 민주당 대선후보가 결정되는 9월에 귀국할 예정이었다. 양 전 원장이 급하게 돌아온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4.7 재보선 패배에 따른 정권재창출에 빨간등이 켜졌고 당내 초재선을 중심으로 쇄신론이 일면서 분란 조짐에 친문 강성 지지층이 비문.반문 인사에 대한 무차별 문자폭탄으로 지지층 분열 징후까지 나타났다.

또한 당은 원내대표 선거, 당대표 선거를 두고 후보자들끼리 친문, 비문, 중도로 나뉘어 경쟁을 펼쳤다. 결과적으로 친문 윤호중 의원이 원내대표에 올랐지만 당 대표는 비문 송영길 의원이 됐다. 하지만 최고위원 1, 2, 3등 모두 강성 친문 인사가 차지해 사실상 친문 지도부가 들어섰다. 그나마 유력했던 친문 당 대표 후보인 홍영표 의원이 떨어져 드러내놓고 ‘친문당’이라는 낙인에서는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묻지마식’ 문파의 도발로 인해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층이 분열되면서 지지율에도 비상이 걸렸다.

설상가상으로 친문 대권 주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비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여권내 부동의 1위를 차지하면서 친문 강성 지지층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친문 주류의 지지와 호남으로부터 지지를 받아 40%대까지 지지를 받았던 이낙연 전 대표는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정세균 전 총리가 빈자리를 메꾸려 대선 행보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은 미비하다.

특히 정 전 총리는 대권도전에 나서면서 이재명 경기지사를 정조준 해 날선 공격을 보내자. 이 지사측은 “너무하는 것 아니냐”는 불멘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정 전 총리가 이 지사를 공격하는 것은 1등 주자라는 점도 한몫 하지만 친문 주류 지지층의 관심과 지지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귀국한 게 양정철 전 원장이다. 

양 전 원장은 민주당 대선 경선이 과열될 경우 문 대통령의 레임덕은 심화되고 나아가 재집권 역시 요원하다는 것을 경험치로 알고 있다. 친문은 김태년, 윤호중 의원등이 속해 있는 이해찬 사단과 홍영표.전재수 의원과 전해철 행안부 장관이 소속된 친문·친노 모임인 부엉이 모임이 만든 민주주의 4.0 그룹 그리고 양정철, 김경수, 조국 등 친문 젊은 소장파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세 그룹은 문재인 대통령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을 위해 ‘원팀’을 강조하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이 다르다. 특히 이재명 지사를 두고 입장이 극명하게 갈린다. 이해찬 사단의 경우 차기 대선에서 ‘흑묘백묘론’이다. 누가 민주당 후보가 되든 정권재창출이 우선이다. 이재명 지사를 대선 레이스에서 배척해선 안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반면 부엉이 모임은 아니다. 이재명 지사는 안된다는 불가론에 가깝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조율사가 필요하다. 바로 양정철 원장이 등장한 배경이다. 양 원장은 한때 유시민 노무현 재단 이사장의 대권 출마를 종용하면서 조국 전 법무부장관을 동급에 내세워 조국 대망론을 띄운 인사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출마’에 부정적일 때 끝까지 설득하고 책까지 내면서 설득한 게 그다. 

또한 양 전 원장은 지난 총선 때 민주연구원장을 맡아 대권주자별 공천 갈등을 최소화하기위해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지사, 김경수 경남지사 등 당내 유력 대권주자를 잇따라 만나 공천 후유증을 최소화했다. 그런 그가 민주당 대선 경선을 앞두고 귀국한 것이다. 첫 번째 임무는 강경 친문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경선연기론’에 대한 조율이 될 전망이다. 총선 압승하는 데 일조한 양 전 원장이다. 그가 대선에서 갈등을 최소화해 정권재창출을 이끌어내는 데 일조할지 아니면 분열의 씨앗이 될지 두고 볼 일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