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지선 연패로 선거 후유증 직면
패전 반성·쇄신 방향 설정에 따라 향배 갈려
차기 임시 지도부 구성 및 원구성 협상 관건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무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l 정두현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통령선거에 이어 지방선거까지 연전연패한 뒤 책임론을 둘러싼 후유증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런 가운데 170석에 가까운 골리앗 야당이 향후 풀어야 할 ‘난제’에 관심이 쏠린다. 

지난 대선에서 ‘0.73%포인트’ 극세사 격차로 석패한 민주당이 ‘0.73’이란 매직넘버에 도취돼 반성과 쇄신을 등한시한 것이 지방선거 패인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당 내부에선 민주당의 패배냐, 이재명의 패배냐를 놓고 책임 소재 규명에 나선 모습이다.

이낙연 전 대표는 지난 2일 자신의 SNS를 통해 “대선을 지고도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지방선거를 치르다 또 패배했다”며 “패배의 누적과 그에 대한 이상한 대처는 민주당의 질환을 심화시켰다”고 짚었다. 그 이튿날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인도 “대선 이후에 (민주당이) 성찰과 반성, 변화의 의지가 부족했다고 생각한다”고 민주당이 향후 쇄신 행보로 위기 국면을 정면 돌파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은 지방선거 이후 ‘자숙’의 시간을 갖고 있다. 당장 지방선거 패전에 따른 반성·쇄신 방향성을 어떻게 가져가느냐에 따라 170석 거대 정당의 향배도 크게 갈릴 것으로 보인다.

오는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계파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새 임시 지도부 구성으로 사실상 무주공산인 당내 상황을 조속히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전대를 앞두고 당내 이합집산이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도 나서야 한다. 여기에 여당인 국민의힘과의 국회 원 구성 조율도 관건이다.    

포스트 대선 정국을 진두지휘했던 민주당 비대위는 지방선거 패전 책임을 지고 80여 일 만에 전격 해산했다. 8월 전대까지 전임 비대위를 대신해 새롭게 당을 이끌 임시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 현재 민주당 당헌·당규에 따라 박홍근 원내대표가 비대위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임시 지도부는 조속한 시일 내에 차기 비대위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박 원내대표는 “기존 당의 정책 기조 노선에 대한 철저한 평가를 토대로 혁신 비대위를 구성하겠다”고 했다. 

현재 민주당 임시 지도부 후보군 1순위로 문희장 전 국회의장,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원혜영 전 의원 등이 거론된다. 이와 함께 박지원 전 국정원장, 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부겸 전 총리 등 원로급 인사들이 대거 하마평에 올라와 있다.

민주당 박 원내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일요서울과의 통화에서 “임시 지도부가 늦어도 내주(6월 2주)까지는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내부 회의에서 8월 전대까지 컨트롤타워 공백을 채울 임시 지도부는 아무래도 정치 관록이 있고 170석을 포용할 수 있는 성품을 갖춘 인사가 적격이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6.1 지방선거로 공전했던 국회 후반기 원 구성도 민주당에게 남겨진 과제다. 당장 임시 지도부 구성이 시급한 만큼, 내부 교통정리가 끝난 시점에야 본격적인 국회 원 구성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달 29일부로 전반기 국회 임기가 종료됐지만 여전히 법사위 상임위원장 등 국회의장단의 퍼즐이 채워지지 않은 상황이다. 

여야는 특히 차기 법사위원장 직을 놓고 극명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을 각각 여야가 나눠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법사위원장 직까지 사수한다는 방침이어서 양당 간 이견은 쉽게 좁혀지지 않을 전망이다. 

일각에선 민주당이 법사위원장 직 사수를 고집할 경우 국회 요직을 독식하려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는 만큼, 여당과의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