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1기 독자위원회가 출범하였습니다. 독자위원님들은 1481호에 보도된 기사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을 주셨습니다. 다음은 이번 주 총 4명의 1기 독자위원님들이 1481호를 읽고 보내온 평을 담았습니다. 

정호승 위원 : 언론사의 지면에 오르는 글은 어떠한 목적하에 쓰이는 글이 대부분입니다. 그러한 글들이 모여 그 언론사의 성향이 됩니다. 우리가 어떤 언론사를 보수 언론이라 하고, 어떤 언론사를 진보 언론이라 하는 것은 그러한 언론사의 성향을 장기간에 걸쳐 집단지성으로 분류한 결과일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일요서울은 그러한 특징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언론사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상당히 진보적 시각에서 글을 쓰고 있는 필진이 있지만, 어떤 글은 너무나도 보수적인 시각에서 글이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리 독자들이 그러한 글들을 소화할 능력이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일요서울이 보다 주체적으로 어떤 성향의 언론을 지향할지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떤 필자가 아주 객관적인 시각으로 불편부당(不偏不黨)하게 글을 썼다고 해도 독자가 편향된 시각에서 글을 읽게 되면, 그 글은 그 독자에게는 편향적인 글로서 인식됩니다. 또한, 편향된 시각을 가진 필자에 의해 글이 쓰이게 되면, 그 글은 객관성과 정당성을 상실하게 됩니다.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치우침 없이 사실에 기초해 신문 지면에서 함께 호흡할 수 있다면 올바른 여론이 형성되어 보다 우리 사회가 긍정적으로 발전할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지난 1481호에 실린 정용석 교수의 “상대의 부인을 공격의 좌표로 찍는 행위 좀스럽다”는 글은 매우 아쉬웠습니다. 교수의 의도와는 다르게 글이 읽힐 소지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맞불 책동이었다.”, “사내답지 못하고 비열하다.”, “치졸하고 반법치적이며 반민주적 작태이다.”, “길길이 뛸 게 아니라” 등의 표현은 더 불어민주당의 행태를 비판하려고 동원한 표현이지만, 더불어민주당의 정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대편에서 즐겨 쓰는 표현인 것 같습니다. 본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국민의힘과 윤석열 대통령을 대변하고 있는 것처럼 읽힙니다. 칼럼이 더 객관적 사실에 기초해 더욱 정제된 표현으로 우리 독자들에게 다가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민생현안 관심 갖은 정부, 이를 보도한 기사는 잘한 일

이문교 위원 : [은행 옥죄는 국회 '이자장사와 전쟁' 선포] 기사를 보면서 여야가 오랜만에 국민이 관심 가지는 정책에 관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은행들은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이용해 땅 짚고 헤엄치기 장사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지만 이런 것을 고치려는 정치권과 은행의 노력은 부족했습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은행 개혁이니 예대마진을 줄여 서민들이나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을 줄여야 된다고 말들은 많았지만, 실효성 있는 변화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은행들이 국민에 비판받는 두 가지 지점이 있습니다.

은행들은 국민이 저축하는 돈을 가지고 돈이 필요한 부분에 대출을 해줌으로써 이윤을 추구합니다. 즉, 저축한 사람에게 이자는 덜 주고 대출받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이자를 받아서 이윤을 추구하는데, 그동안 너무 예대마진이 차이가 높아 은행들이 과도한 이자 놀이를 한다는 것과 신용도가 높고 돈이 많은 부자에게는 대출금리를 낮게 하고 가장 돈이 급한 서민들에게 높은 이자를 받아와서  불공정하다는 비판을 적잖게 지적받았습니다. 

그러나,이러한 국민의 비판에도 은행들은   요지부동이었습니다. 이런 국민들의 불만에 대해 정치권이나 행정부에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야하는데도  실효성 있는 정책이 만들지 못한 국회의원들도 국민의 비판에 자유롭지 않습니다. 

제도적으로 충분히 은행의 폭리행태를 막을 수도 있는데 말만 했지 실질적으로 제도를 만드는데 수동적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일각에서 말하는 것처럼 정치권이나 시민단체 등이 은행에 과도하게 개입한다고 불만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예대마진에 대한 비판이 왜 지속해서 나오고 있는지 은행들은 자신들의 행태에 대해  되돌아봐야합니다. 과도한 이자는 서민과 중소기업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고 은행의 지나친 예대마진을 통한 과도한 수익은 국가 경제에도 심대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정부와 정치권, 해당은행들은 국민이 높은 이자로 고통받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해주기 바랍니다

- 국민의 마음 대변해 준 속이 시원한 기사 '칭찬해'

윤대상 위원 : [“TK마저 무너지면..” ‘이재명-김건희 특검 빅딜론’ 부상]을 읽었습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검찰에 기소되자 민주당은 정치보복으로 규정하며 같은 협의로 윤석열 대통령을 검찰에 고발하며 맞불을 놓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더 나아가 이재명 대표 특검과 김건희 여사 특검을 같이 진행하는 ‘쌍특검’ 주장하고 있습니다. 김혜경 씨도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으로 수사를 받고 있어 여야의 싸움이 쉽게 끝날 것 같지 않습니다.

많은 기대를 안고 윤석열 정부가 시작된 지 몇 달이 지났지만, 기대에 부응은커녕 국민의힘 내부의 힘겨루기와 전 정부와의 갈등 그리고 이재명 대표 및 민주당과의 정쟁으로 국민들의 실망과 피로도는 커지고 있습니다. 코로나 19의 긴 터널과 치솟는 물가 때문에 국민의 삶은 더 힘들어져 가고 있습니다.

민생경제 파탄으로 모두가 어렵다고 하는 있는 와중에 개인의 사법 문제를 정당 차원에서 서로 똘똘 뭉쳐 고발과 의혹 제기를 남발하며 싸움에만 몰두하고 있고 이에 따른 피해는 오롯이 국민이 받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당 대표는 물론 여야가 모두 민생을 입에 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 공허한 외침일 뿐 행동은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로지 눈앞의 권력 다툼과 정쟁만 있을 뿐입니다. 본지 기사에서 소개한 여론조사의 결과를 보더라도 김건희 여사에 대한 부정적 여론과 이재명 대표의 검찰 기소가 정당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의 삶과 전혀 관련 없는 소모적인 논쟁은 그만했으면 좋겠다는 뜻이 아닐까요?

일요서울 1481호에서 다루어준 기사는 현재 우리 국민이 가지고 있는 마음을 대변해 주고 있는 것 같아 속 시원한 느낌이었습니다. 피곤하고 지루한 사법 정쟁은 그만하고 말뿐이 아닌 행동으로 민생을 챙겼으면 좋겠습니다.  

- 대안 제시 전문가 의견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

윤호영 위원 : [한국 50년 뒤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 된다. 사실일까?] 기사에서 다루었듯 50년 뒤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가 된다는 기사를 보니 씁쓸합니다.

해마다 점점 내려가는 출산율과 점점 고령화되어가는 인구들 때문에 이런 조사결과가 나왔을 것입니다. 고령화 문제는 어떻게 보면 시간이 흘러가서 노인 인구가 줄어들면 자연스레 해결될 수도 있는 문제일 것입니다. 다만 고령화가 가져오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도 뒷받침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주 심각한 문제인 것은 바로 저출산입니다.

저출산은 시간이 지나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시간이 지날수록 더 커지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초등학교 입학식에 가보신 분들 있으실까요? 현재 40대 정도 되는 부모세대 초등학생 시절에는 한 반에 60명가량 되고, 1학년 때는 오전반 오후반으로 나누어 다닐 만큼 학생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 입학생이 100명이 안 되는 곳도 많다고 합니다. 부모세대 학생 수로 보자면 한 학년에 두 반정도 밖에 없는 셈입니다. 서울도 이런 수준이니 지방에는 입학생이 얼마나 줄었는지는 보지 않아도 잘 알 것 같습니다.

사람들은 '심각한 저출산이 문제다! 인구가 줄고 있다!' 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을 테지만 잘 느끼지는 못했을 겁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저출산을 그래프 수치나 이야기로 듣는 것보다 초등학교 입학식에서 학생 수를 보여주는 것과 같은 실생활에서 확인되는 저출산으로 말미암은 현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저출산의 현 상황을 보았다고 개인의 출산에 대한 생각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예전에는 그다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던 저출산을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함으로써 개인과 사회가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대한민국의 인구는 고령화될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인구의 고령화는 막을 수 없더라도 현재 심각한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한 획기적인 출산장려정책이 누구의 머리에서건 빨리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기사에서 대안 제시에 대한 전문가 의견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습니다. 

■ 1기 독자위원회
정호승(회사원, 강원도 속초시), 이문교(프리랜서, 경기 김포), 윤대상(직장인, 서울 노원구), 윤호영(자영업, 서울 중랑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