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의 ‘연정 고수’와 한나라당 박 근혜 대표의 ‘연정 불가’가 맞섰다. 창과 방패의 만남이었으니 결렬은 예상했던 바다. 이제 ‘연정 드라마’는 어떻게 끝을 맺을 것인가. 국민들은 더더욱 불안해 지기 시작했다. 면전에서 연정 불가를 확인했으니 노 대통령이 뜻을 굽힐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카드로 다시 방패를 뚫을 계획을 세울 것인가. 그 동안의 대통령의 ‘집착’을 보면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 불안감은 연정뿐만이 아니다. 경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도 인식차가 드러났다. 박 대표는 장기 불황을 우려했으나, 노 대통령은 경기 회복을 낙관했다. 중요한 사안을 두고 사사건건 이렇게 여야의 인식차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니 국민의 불안감은 더할 수밖에 없다. 정기 국회가 얼마 남지 않았다. 이번 국회에는 8·31 부동산 대책, 불법도청 사건, 세제 관련 법안, 국가권력범죄 공소시효, 사립학교법 개정, 비정규직 관련 법안 등 해결해야 할 국정 현안이 산더미 같다. 무엇 하나 소홀히 다룰 수 없는 사안들이다. 그런데 이번 연정 정국을 지켜본 결과 여야는 민생 보다는 연정 문제에 노 대통령이 또 어떤 카드를 들고 나올 것인가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당은 각종 현안에서 주도적인 입장이기 보다는 모든 문제를 대통령의 ‘뜻’에 따라 움직이는 눈치이다. 처음 대통령이 연정에 대해서 언급했을 때 여당 내에서도 대통령의 뜻을 헤아리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분위기였고 그 후에도 대통령 ‘뜻’을 헤아리기에 바쁜 듯 보인다. 이런 모습을 보면 ‘제왕적 대통령’의 모습이 부활한 것 같은 착각이 일기도 한다. 야당도 민생을 언급하고는 있지만 연정에 대한 국정 분석에 분주하기는 매한가지다. 여당도 알지 못하는 노 대통령의 후속 카드에 대응하기 위해서 야당 내에서도 연일 분석 작업이 한창이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인 맹형규 의원은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연정카드는 이미 대통령이 그리고 있는 준비된 시나리오 대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대통령만이 가지고 있는 비장의 무기가 숨겨져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까지 꼬집었다. 그러나 문제는 대통령이 국민과 나라를 위해 연정이 불가피하다고 했지만 정작 연정 정국의 최대의 피해자는 ‘국민’이라는 데 있다. 오히려 이 연정론을 내세우면서 정치적 대립이 극심해졌고, 그 동안 노 대통령에게 우호적이었던 개혁과 진보 계층이 등을 돌리는 바람에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갈 추진력마저 잃어버리고 말았다. 얼마 전 우리는 충격적인 보도를 접했었다. 우리나라 빈곤층이 전 국민의 15%라는 충격적인 내용이었다. 이것은 오히려 현 정부들어서 양극화 해소가 아니라 양극화가 극대화 되었다는 생각마저 들게 된다. 이제 집권 후반부이다.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헌법 질서와 정치적 틀을 깨고 새로운 판을 구성하겠다는 과욕 때문에 오히려 국민 경제를 더욱 어렵게 하여 초가삼간까지 태우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이제는 연정론에 대통령직을 걸 때가 아니라 민생에 대통령직을 걸 때이다. 국민들은 이제 연정 드라마를 끝내길 원한다. 연정은 드라마 막바지에 떨어지는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서 극적 반전을 꾀한 것처럼 보인다. 효과 없는 극적 반전은 국민이라는 시청자의 외면만 있을 뿐이다. 얼마 남지 않은 임기 동안 정말 국민이 원하는 문제에 대통령직을 걸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