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 확정으로 바야흐로 12월 대선의 서막이 올랐다. 역대 대통령 후보경선의 최고 득표율로 대선 후보 자리에 오른 박 후보의 수락연설 제 1성은 “우리 주권과 안위를 위협하는 어떤 행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국민 대통합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위기에 빠진 한나라당의 이름을 새누리당으로 바꾸고 19대 총선을 압승으로 이끈 박근혜에 대해 새누리당은 일사분란한 지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이지만 내용면에서 그렇지만은 않다. 41.2%라는 역대 최저의 선거인단 투표율에서 보듯이 집권 여당의 경선이 흥미진진한 축제 한마당이 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대목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과 박근혜 후보로서는 이제 국민의 마음을 얻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한다. 박 후보는 차기 대통령으로서 경제위기와 남북관계 등 국가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고 국정을 이끌 능력과 자격이 있음을 국민 앞에 보여줘야 하는 것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장녀로서 물려받은 정치적 유산이라는 틀을 벗어나 미래 지도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보여야 한다는 말이다.

특히 심각한 사회적 불평등과 불공정의 원인과 결과가 되고 있는 사회 양극화에 대해 해법을 내놓고 우리 사회가 활력을 회복해 통합을 이룰 방안 제시를 꼭 해야 할 것이다. 당내 쪽으로는 반쪽 경선이 되고만 경선 불참의 당내 비박 주자들을 껴안아 함께 가는 노력의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 불통 이미지와 독선적 당 운영이라는 비판 여론을 침묵으로 불식시킬 수는 없다.

소통과 통합의 면모로는 여러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40% 안팎의 지지층을 빼놓은 나머지 60%대에 이르는 국민을 어떻게 끌어안느냐에 관한 역량과 부합되는 터다. 박 후보가 86.3%의 경선 득표율을 보인 것은 ‘박근혜 사당화’ 논란의 방증으로 비춰질 수 있다. 당내 경선 압승이 ‘본선 대세론’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경선 과정에 논란을 일으킨 박정희 시대에 대한 역사인식도 정립할 과제이고 오락가락했던 재벌 정책에 대한 입장도 명확히 할 때다. 또 당내 논란이 분분한 보수대연합에 관한 입장은 어떤지, 중도층에 대해서는 어떤 태도를 취할지가 분명해야 한다. 야당 후보가 선출되고 안철수 교수의 출마 여부가 확정되면 박 후보의 독주무대는 사라진다.

박 후보의 유연성 부족은 취약 계층인 20-40세대와 수도권, 중도층에서 확장성을 제약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자기 개혁을 위해 지난 언행에 대한 성찰이 반드시 있어야 하고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그래야 ‘박근혜가 바뀌네’란 캐치프레이즈가 민심과 소통케 될 것이다. 관건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의 실천이냐는 점이다.

‘그 나물에 그 밥’인 자기 사람만 중히 쓰는 인사방식으로는 경선룰에 반발한 비박 주자들이 ‘따라오든가 말든가’라는 자세로 굴욕감을 안긴 불통 이미지를 해소 시키지 못하는 것이 당연하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