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로동당 제1비서의 군사도발 협박에 흔들리게 되면 내치(內治)에서도 흔들릴 수 밖에 없다. 야당을 포함한 국내 반대세력이 박 대통령의 꺾인 모습을 보고 대통령을 얕잡아보며 겁 없이 흔들어댈 수 있다. 정적들의 무분별한 도전을 받는 곤경에 빠진다. 
비슷한 사례는 멀리 있지 않다. 5년 전의 일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2008년 봄 광우병 파동 때 폭력·불법시위에 휘둘렸던 불행한 사태가 그것이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 진입을 기도하던 불법·폭력시위대의 위협에 눌려 굴복했다. 그는 6월 10일 담화를 통해 “캄캄한 산 중턱(청와대 뒷산)에 홀로 앉아 국민을 편안히 모시지 못한 제 자신을 자책했다. 사과드린다”며 불법·폭력시위대에게 엄격한 법적 제재 대신 고개 숙였다.
이 대통령은 취임 3개월 반 만에 불법·폭력시위에 굴복함으로써 야당과 재야단체들에 의해 깔보여 임기 끝까지 곤욕을 치렀다. 보수 세력에 의해서는 “기회주의자”로 폄훼되었다. 대통령으로서 신뢰와 권위를 적지 않게 상실, 국정을 소신껏 그리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이 떨어졌다. 
이 대통령이 취임할 때만 해도 많은 국민들은 그가 “불도저”란 별명과 같이 소신을 굽히지 않고 돌파력을 발휘해주리라 기대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하자 야당과 재야 반정부 세력은 그의 “불도저” 배짱을 의식, 함부로 나서지 못하며 관망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이 대통령이 불법·폭력시위에 밀리는 나약한 모습을 드러내게 되자 정적들은 그를 가볍게 보기 시작, 임기 동안 계속 흔들어 댔다. 북한도 그 나약한 뒷모습을 보고는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도발을 거침없이 자행하였다.
박근혜 대통령도 한나라당 시절 “소신과 원칙”의 정치인으로 평가되었다. 본인 스스로도 “영국의 병”을 두툼한 배짱과 신념으로 치유한 故 마가렛 대처 총리를 롤 모델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소신과 원칙”도 취임 2개월 만에 김정은의 협박으로 시험대에 오르게 되었다. 
그동안 청와대 관계자는 “개성공단이 폐쇄되는 상황이 오더라도 우리가 먼저 개성공단을 유지해달라고 북한에 요구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북한과의 기 싸움에서 밀리면 안 된다”고 맞섰다.
박 대통령도 대북 인도적 지원을 밝힌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진전시키기 힘든 상황이라며 김정은의 협박에 굴복하지 않을 뜻을 표명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지난 4월 11일 갑자기 “북한과 대화의 문은 항상 열려있고 인도적 지원은 계속하겠다”고 공언, 대화와 인도적 지원을 표명하였다. 북한의 전쟁협박에 2개월도 버티지 못하고 “기 싸움”에서 밀렸다. 대처 총리는 전투적 노조와의 기 싸움에서 12개월 동안이나 맞선 끝에 이겼다. 박 대통령의 4.11 대북 대화 및 지원제의는 5년 전 이명박 전 대통령의 6.10 담화를 상기케 한다.
박 대통령도 김정은 협박에 두 달도 버티지 못하고 굴복한다면, 이 대통령처럼 국내 정적들에게 얕잡혀 임기 내내 반대세력의 협박과 발목잡기로 시달리지 않을까 걱정된다. 기회주의자로 폄훼될 수도 있다. 김정은에게도 깔보여 보다 더 사나운 군사도발과 협박을 자행케 할 수 있다.
박 대통령은 김정은의 협박과 기 싸움에서 밀려서는 아니 된다. 한나라당 시절 보여준 흔들리지 않는 소신과 원칙을 지켜 국민들로부터 권위와 신뢰를 유지해야 한다. 3대로 이어진 북한 ‘김씨 왕조’의 고약한 버릇을 바로잡아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 시키기 위해서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