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녹화사업은 통일 위한 밑거름될 것”

북한…사람 사는 지역, 마을 주변 산에는 나무가 하나도 없는 실정
남한보다 경지면적 넓고 인구 적은데도 식량난에 허덕이고 있어

[일요서울 | 오두환 기자] 남북관계가 경직된 지 오래다. 이산가족 상봉으로 남북관계가 해빙될 것이라는 전망이 무색할 정도다. 최근에는 북한의 포격 도발, 무인기 추락 등으로 더욱 경직돼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녹색통일’을 기치로 남북녹색경제협력을 선도하고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민간주도형 국제협력기구 아시아녹화기구(GAO, Green Asia Organization)가 창립됐다. 아시아녹화기구는 한반도 녹화를 통해 쌓은 남북간 신뢰를 바탕으로 한반도 긴장완화와 통일을 위한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일요서울]에서는 김동근 아시아녹화기구 상임대표를 만나 아시아녹화기구의 구성과정과 앞으로 할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봤다.

- 기구 소개와 함께 참여 인사들을 소개한다면.
▲ ‘아시아녹화기구’는 ‘푸른 한반도, 맑은 동북아’라는 기치 아래 남북녹색경제협력을 선도하고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민간주도형 국제협력기구다. 고건 기후변화센터 명예이사장이 2009년 기후변화센터에 ‘북한산림녹화정책연구회’를 구성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 11월 고려대학교, 평양과학기술대학, 미래숲, 겨레의숲, 평화의숲 등과 ‘아시아녹화기구 설립추진을 위한 협력 MOU’를 체결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설립에는 겨레의숲 공동대표인 본인을 포함해 구길본 한국산지보전협회 회장, 김진경 평양과학기술대학 총장, 양호승 월드비전 회장, 오연천 서울대학교 총장, 유영숙 전 환경부 장관, 유중근 대한적십자사 총재, 이창무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허신행 전 농림부 장관, 홍사덕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 등 46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 ‘그린데탕트’ 사업이 눈길을 끈다. ‘그린데탕트’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그린데탕트란 남북녹색경제협력과 농업협력을 통해 남북긴장을 완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아시아녹화기구의 임농복합경영이라는 사업 방향과 일치한다. 아시아녹화기구의 한반도녹화사업은 북한이 추진 중인 산림복원계획에 한국의 치산녹화 경험을 접목해 양묘조림연료식량을 체계적으로 연결시킬 임농복합 패키지 계획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한반도 녹화를 통해 쌓인 남북간 신뢰는 한반도 긴장완화와 통일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북한과 어느정도 교류가 진행되고 있는가. 학술교류 등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지.
▲ 1차 심포지엄을 3월 19일에 가졌다. 비록 북한이 참석을 하지는 못했다. 심포지엄에서는 임농복합 패키지 사업 모델에 대한 토론이 있었다. 2차 심포지엄은 평양에서 할 계획이다. 우리의 의향을 북에 전달한 상태다. 기다리고 있다. 5월 예정인데 확정은 아니다. 2차 심포지엄을 하게 되면 우리의 경험과 북한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발전 방향 등에 대한 계획을 논의할 것이다. 거기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고 협력을 시작할 것이다. 산림녹화 지역 선정, 규모 등이 정해질 것이다.

- 현재 북한 산림의 상황은 어느 정도인가. 어떤 문제가 있는가.
▲ 한마디로 말하면 사람이 사는 지역, 마을 주변 산은 나무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 2011년 기준 임목지 지역이 544만㏊다. 그중 355만㏊가 황폐화 됐다. 백두대간 깊은 산골과 관광지 등을 제외하면 나무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식량이 부족하다보니 그렇게 된 거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게 논밭을 합한 경지면적이 북한이 남한보다 18만㏊ 정도 더 많다. 인구도 우리나라의 절반이다. 그런데 식량자급이 안 된다. 큰 문제다. 산에 나무가 없다보니 자연재해에 취약해져 자꾸 야산을 개간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나무가 더 없어지고 있다. 이젠 20도 경사지까지 농사를 짓는다. 그런데 나무가 없으니 비가 오면 다 쓸려 내려간다. 이렇게 쓸려간 토사는 강바닥에 쌓이고 비가 오면 다시 강물이 넘쳐 자연재해로 농사를 망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악순환이 계속되는 거다. 그래서 나무 심는 일이 식량문제와 직결된다는 말을 하는 거다. 북한 산림은 상당히 황폐화 돼 있다. 토양 1cm가 생성되려면 200년이 걸린다.

- 황폐한 북한 산림을 복구하는데 30조 이상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통계가 있다. 재원마련도 중요한데 어떻게 준비하고 있나.
▲ 현재 남북 정부간 대화가 안 되고 있는 상황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드레스덴 선언을 통해 다양한 제안을 하고 있지만 북한은 대답이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와 같은 민간단체가 북한에 먼저 들어가 거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우리와 같은 민간기구는 정치적인 문제랑 상관이 없다. 현실적인 문제와 학술적인 문제를 다루기 때문이다. 지금은 민간단체로서 우리가 북한에 갔을 때 하고자 하는 일을 할 수 있을 만큼의 자금을 만들려고 한다. 올해 약 30억 원을 목표로 자금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자금이 모여야 산림녹화를 위한 대상지 선정, 지원 등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 산림복구와 통일 어떤 연관이 있나.
▲ 산림복구는 나무만 심는 것을 말하는 게 아니라 식량확보를 말한다. 북한은 경지면적이 많은데 식량부족을 겪고 있다. 식량 부족, 한반도 생태복원 등을 하려면 결과적으로 북한의 산림복원이 이뤄져야만 한다. 산림복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산사태, 토사유출, 홍수, 가뭄, 식량부족, 동식물서식지 감소로 인한 생태계 파괴가 되풀이된다. 해가 갈수록 그 심각성이 더 커진다. 빨리 시작할수록 좋다. 그래야 산림복구비용도 줄일 수 있다. 늦어지면 복구비용이 점점 더 커진다. 경제적인 문제를 고려한다면 빠를수록 좋다. 같이 협력할수록 좋다. 통일 준비 이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남북이 윈윈 할 수 있는 사업이다.

- 며칠 전 식목일이 지났다. 법정공휴일에서도 제외된 상태다. 많은 사람들이 산림의 중요성을 잊고 있다. 어떻게 해야 할까.
▲ 나도 산림청장을 했는데 좀 안타깝다. ‘한강의 기적’을 이루는 데 50년이 걸렸다. 이제 우리나라는 나무가 많이 심겨 식목일에 나무 심을 장소 찾는 게 어려울 정도다. 자연스레 식목일의 중요성이 약화됐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아마존 등 열대우림이 계속 감소되고 있다.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변화가 심각하다. 이제는 식목일에 대한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나무 심는 날이 아니라 나무를 생각하는 날로 바뀌어야 한다.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35조다. 이산화탄소 흡수, 산소 생산, 대기 정화, 수원보유, 수원함량, 동식물보호, 토사유출 방지, 산림 치유, 생물의 다양성 보존 등 많은 기능을 하고 있다. 이런 걸 한번씩 생각해보는 날이어야 한다. 지구상에 많은 자원이 있지만 재순환이 되는 자원은 나무밖에 없다. 인간이 잘 관리하면 영원이 순환되는 자원이 바로 나무다. 식목일은 나무의 중요성을 알고 생각하고 체험하는 그런 날이 됐으면 좋겠다.
freeore@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