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후폭풍] 호남 패배 잠룡군 몰락 야당 초토화시켜

▲ photo@ilyoseoul.co.kr

[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새정치민주연합호가 7.30 재보선 후폭풍으로 난파직전이다. 세월호 참사, 박근혜 정권 인사참사 그리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의문의 죽음까지 야권에게 호재가 많았다. 하지만 ‘정권 심판론’은 안 먹히고 역으로 ‘야권 심판론’으로 흐르면서 대패했다. 역대 재보선이 집권 여당의 ‘죽음의 무덤’이라는 공식마저 깨졌다. 무엇보다 새정치연합의 아픈 대목은 호남에서의 패배다. 이는 곧 야당의 텃밭이라는 호남마저 현 지도부와 당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냉정한 평가를 내린 셈이다. 설상가상으로 야당의 힘이라고 할 수 있는 인적 자원마저 고갈되게 생겼다. 새정치연합 비주류 진영에서는 “비주류 김한길-안철수의 잘못된 공천으로 당권. 대권 주자 다 망가트리고 친노 주류(문재인)만 살판나게 만들었다”고 냉소적인 평가마저 내놓았다.

“여우 피하려다 호랑이에게 잡혀먹게 생겼다”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 당직자의 한탄이다.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가 지난 지방선거와 재보선에서 보여준 공천이 마음에 안 들지만 김-안의 동반 몰락으로 예상되는 친노의 부활을 염려하는 말이다. 그렇다고 문재인-이해찬-한명숙-정세균 등 친노 주류를 제외하고 당을 추스릴 마땅한 대안 세력이 없다는 점도 비주류의 딜레마다. 당내외 그 많던 인적 자원들이 선거를 거치면서 하나 둘 상처를 입거나 사라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인적 손실은 역시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손학규 전 상임고문이다. 야당에 ‘새 정치를 심겠다’고 호언장담하고 민주당과 전격 합당을 한 안 전 대표다. 그러나 두 개의 큰 선거를 치르 면서 새정치 구호에 맞는 리더십을 보여주는 데 실패했다는 평이다. 나아가 선거에서 ‘자기사람’을 심지 못하고 대표가 된 지 4개월 만에 물러났다. 안 전 대표가 다시 대권 주자로서 본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좀더 ‘고난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학규·동영·두관 떠나고
철수 수면 아래로

손학규 전 고문의 정계은퇴는 야당으로서 커다란 손실일 수밖에 없다. 손 전 고문이 만약 생환했다면 유력한 당 대표 후보에다 차기 대권 후보로서 부상할 수 있었다. 또한 2007년 정동영, 2012년 문재인 후보가 이명박, 박근혜 후보에게 대선에서 패배한 이후 2017년은 ‘손학규 바람’을 일으킬 절호의 기회였다. 하지만 손 전 고문은 재보선에서 패배했고 급기야 ‘정계은퇴 선언’을 하면서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갔다.

이뿐만 아니다. 김한길-안철수 공천 파문으로 생채기를 입은 잠룡군 역시 수두룩하다. 대표적인 인사가 정동영, 김두관, 천정배다. 정 고문은 당초 동작을 출마가 점쳐졌지만 당 지도부가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을 공천하면서 ‘낙동강 오리알’ 신세로 전락했다.

‘당이 요청한다면 기꺼이 출마하겠다’는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지고 대선 후보로서 자존심마저 구겨졌다. 향후 있을 조기전대에서 당 대표 도전이 점쳐지지만 당 대표 선거와 최고위원 선거가 분리된 당헌당규상 친노 주류 세력과 맞서 승리가 요원한 게 현실이다. 당분간 야인으로 머무를 수밖에 없는 만큼 대중의 기억 속에서 멀어질 공산이 높다.

‘리틀 노무현’으로 각광을 받던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 역시 고난의 가시밭길을 걷게 됐다. 경기도 김포 재선거에서 낙마한 김 전 지사는 향후 정치 일정에서 보기 힘들 전망이다. 김태호 전 경남도지사가 새누리당 전당대회를 통해 3위를 하면서 화려하게 부활해 김 전 지사도 내심 원내 입성후 전대 참여를 바랐다.

하지만 원내 입성이 좌절되면서 당권 도전도 물 건너갔다는 평이다. 김 최고위원은 영남 당에 영남 출신으로 3위가 가능했지만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야당에서 세력도 없는 영남 출신인 김 전 지사가 경선에서 순위에 들어가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당권뿐만 아니라 대권 모두 멀어졌다는 혹평을 받고 있다.

“권은희 하나 살리려다…”
잠룡 줄무덤

당권 도전이 유력한 천정배 전 법무부장관 역시 이번 재보선에서 상처를 입었다. DJ 서거 이후 무주공산이 된 호남에서 내심 맹주자리를 노리던 천 전 장관이었다. 그는 호남의 심장부인 광주 광산을 출마를 선언했지만 당 지도부가 ‘경선’에서 배제시키고 전략공천 지역으로 분류하면서 고난이 시작됐다. 천 전 장관은 ‘경선’을 요구하며 ‘무소속 출마’라는 배수진을 쳤지만 권은희 당선인을 전략공천하면서 ‘눈물의 회군’을 해야 했다.

직접적인 상처를 입지는 않았지만 잠룡군에 속하는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상처를 입었다. 박 시장의 오른팔인 기동민 전 부시장이 동작을 공천을 받아 나섰지만 ‘20년지기’이자 같은 운동권 출신인 허동준 동작을 위원장과 한바탕 소동을 겪으면서 이미지가 대폭 실추됐다. 막판 여론조사 없이 진행된 단일화 논의과정에서 정의당 노회찬 후보에게 양보하는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했지만 동작을 공천 파동은 재보선 참패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결국 김한길-안철수 공천 파문으로 새정치연합 내 잠룡급 인사들이 줄줄이 상처만 남기고 본인들 역시 공동 사퇴하는 불운을 겪어야 했다. 새정치연합의 한 당직자는 “이번 선거는 광주 광산을 전략공천된 권은희 하나 살리려다 당내 중요한 인적 자원들만 망가졌다”면서 “김-안 지도부가 무슨 생각을 갖고 공천을 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결국 광주 광산을에 출마한 기동민 전 부시장을 동작을로 올리고 그곳에 출마한 천 전 장관을 배제시키면서 권 전 수사과장을 ‘전략공천’한 게 재보선 패배의 주요 원인이 됐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친노 주류의 수장인 문재인 후보가 자연스럽게 차기 유력한 당권·대권 주자로 다시 발돋움하고 있다. 김한길-안철수 비주류가 오히려 주류세력인 친노를 띄워준 셈이다. 여기에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차기 대권 주자로서 망가지지 않았지만 광역단체장이라는 점에서 당권과는 거리가 있다. 문 의원 역시 사석에서 “(당권을 잡아) 20대 공천을 제대로 하고 싶다”, “차기 대권은 양보할 수 있다”는 등 당권 도전에 강한 애착을 보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럴 경우 차기 당 대표는 사실상 문 의원이 ‘따논당상’일 공산이 높다.

특히 차기 당 대표는 2016년에 열리는 20대 총선에서 공천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막강한 자리다. 문 의원이 나선다면 당 대표 자리가 대권 전초전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감이 벌써부터 나오는 배경이다. 현재 야당 내에서는 조기전당대회 개최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11월 개최설, 내년 1~2월 개최설로 나뉘어 있다. 당내 혁신그룹에서는 “차라리 창당수준의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새정치연합과 함께할 외부 세력이 없다는 점이다.

‘조합’이 문제…
친노·486 당 전면에


이미 박원순-송호창-김기식으로 이어지는 시민사회계 인사들이 정치권에 들어왔다. ‘새정치’를 외쳤던 안철수 세력도 없다. 그나마 이번에 동작을에서 야권 연대에 성공한 심상정, 노회찬, 천호선 등 정의당 세력이 있지만 선거에 지면서 동력이 떨어진 상황이다. 결국 당내외 상황이 녹록치않은 가운데 민주당 자체적으로 ‘리모델링’을 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역시 친노 주류인 문재인 의원과 486 인사들이 전면에 나설 공산이 높아졌다.

mariocap@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