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가 장침묵 끝에 새해 신년사 자리를 빌미로 현안에 대해 언급해 그 배경에 눈길을 모았다.

박 전 대표는 추경안 예산 처리를 비롯해 각종 현안에 침묵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과 맞서는 모습을 자제했다. 그러나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감으로 수위를 달리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 파행이라는 대형 이슈에 더 이상 침묵을 지키는 것은 차기 대권 가도에 커다란 오점으로 남을 수 있다는 우려감으로 목소리를 냈다는 관측이다.

이에 박 전 대표는 지난 2일 자신의 지역구인 대구 달성군청에서 열린 신년하례회에 참석, 동행한 기자들에게 “지금 대화를 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내려왔다”면서 “끝까지 대화로 타결이 되면 정말 좋겠다”고 국회 파행사태이후 처음으로 현안에 대해 언급했다.

‘대화를 통한 타결’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것이지만 당내 파장은 클 수밖에 없다. 특히 한나라당내 MB 친이부대로 일컫는 강경파들의 경우 국회의장 직권상정을 통한 85개 법안 일괄처리를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MB의 ‘속도전’에 반기를 든 셈이기 때문이다. 또한 친박 인사들이 당내 50여명 이상으로 친이 인사들과는 달리 ‘일사불란’해 박 전 대표의 ‘대화를 통한 타결’은 향후 여야 쟁점 법안 협상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높다.

특히 박 전 대표가 MB의 ‘명’을 받은 김형오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을 통한 일괄처리를 강행시 야 3당과 함께 불참할 경우 본회의 자체가 성원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회법에는 국회의원 재적수의 과반수 참석으로 본회의를 개최할 수 있어 친박 인사 50여명이 불참할 경우 한나라당 120여석으로 성원이 될 수 없는 현실이다. 야3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행처리를 했지만 성원이 안될 경우 이 대통령을 비롯해 김형오 국회의장, 홍준표 원내대표는 리더십에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박 전 대표가 차기 유력한 대권주자로 현안에 대해 침묵이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대화’를 통한 해법을 제시하며 다시 MB 정부에 공을 떠넘기는 양상이 됐다. 김형오 의장 역시 대화를 선호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의 ‘조언’을 무시하고 ‘속도전’을 낼지 아니면 ‘치킨게임’으로 정면 대결을 벌일지 정치권은 숨을 죽이고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