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명령에 분주한 한국‧대만 기업, 외신도 주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희토류·배터리 등 핵심 품목의 공급망 점검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희토류·배터리 등 핵심 품목의 공급망 점검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뉴시스]

[일요서울 | 양호연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배터리, 반도체, 희토류, 의약품 공급망에 중국 의존도를 낮추라는 전면 검토 명령을 내리면서 한국 산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와 반도체, 희토류와 의약품 등은 대체로 미국이 코로나19 국면에서 수급에 어려움을 겪었던 품목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목적이라는 해석이 주를 잇는다.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오는 상황이다.


- 반도체‧배터리 공급망 점검하라 행정명령...중국 견제 초읽기
- 美러브콜에 투자규모 확대 소식까지...외신들도 앞다퉈 보도



백악관에 따르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배터리와 반도체 칩, 의약품, 희토류 등 4개 분야에 글로벌 공급망을 검토해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평가하라고 행정명령을 통해 지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의 공급망을 강화하고 중요한 제품이 미국에서 만들어지도록 하기 위한 이전의 행정명령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는 따라잡는 게임을 그만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주요 제품 부족 사태를 막기 위해 동맹국과 협력하는 것 뿐 만아니라 특정 산업의 미국 내 생산을 늘리는 것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中견제 조치?
美 제조업 강화 대응 해석


이 같은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개인 보호장비 부족 등을 겪은데다 코로나19 이후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 현상 등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특히 업계에서는 기술 공급망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내 제조업 강화를 위한 조치라고 분석한다. 이미 중국의 반도체 생산량이 오는 2030년에는 24%까지 증가해 1위 자리에 오를 것으로 내다보이는 만큼, 미국이 수급 리스크를 막기 위해 견제하는 것이 아니냐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이번 조치를 통해 한국과 대만, 일본 등 기존 동맹국과의 협력을 확대해 공급망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이렇다 보니 국내 기업들에게도 선택지가 넓어진 만큼 이번 조치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들도 상당하다.

공장 증설 후보지 물색
“투자 규모 3배 확대”


그 중에서도 삼성전자는 미국 내 반도체 공장 증설 등 현지 투자를 계획 중인 만큼 삼성의 행보를 둘러싼 기대감도 모아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1998년부터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반도체 공장을 운영하면서 신뢰를 쌓아 온 바 있다. 이 같은 운영 경험을 기반으로 미국 내 공장을 증설하기 위해 적합한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는 것. 업계에 따르면 이미 뉴욕주를 비롯한 다수 주정부가 삼성전자에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전해진다.

이미 삼성전자는 지난 1월 미국 텍사스 주 정부와 오스틴시 인근 지방자치단체들에 투자의향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투자의향서에는 운영 중인 오스틴 파운드리(위탁생산) 공장 인근에 총 170억달러(약 19조 원)를 투자해 파운드리 설비를 추가로 세우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함께 20년 동안 세금 8억547만달러(약 9070억 원)를 감면해 달라는 요구 조건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내용에 따르면 “20년 세금 감면 조건이 해결되지 않으면 뉴욕이나 애리조나 등 다른 지역을 후보로 검토할 것”이라는 내용과 함께 한국에 공장을 짓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 밖에도 이 같은 투자가 이뤄지면 오스틴시가 86억4300만달러(약 10조370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것이라는 내용과 함께, 직간접 고용 2973명이 기대되는 등의 내용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만큼이나 대만, 특히 TSMC에 대한 기대감도 모아지고 있다. TSMC도 파운드리 등 미국 수요가 상당한 수준인 데다가 미국 내 생산라인을 구축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TSMC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주에 신 반도체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증권업계 한 전문가는 반도체 생산구조와 관련해 “한국, 대만의 경우 이미 파운드리 인프라가 구축돼 있기 때문에 미국, 유럽을 비롯한 반도체 기업이 단기간에 동일한 수준으로 생산력을 높이는 것은 어렵다”며 “그 여파로 우리나라 파운드리 사업도 상대적으로 유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삼성만큼 대만 TSMC에 대한 기대감도 모아지고 있다. 파운드리에 대한 미국 수요가 상당한 수준인 데다가 TSMC도 미국 내 생산라인을 구축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TSMC도 지난 2020년 12월 미국 애리조나주에 신 반도체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승인을 받았다. 증권업계 한 전문가는 반도체 생산구조와 관련해 “한국, 대만의 경우 이미 파운드리 인프라가 구축돼 있기 때문에 미국, 유럽을 비롯한 반도체 기업이 단기간에 동일한 수준으로 생산력을 높이는 것은 어렵다”며 “그 여파로 우리나라 파운드리 사업도 상대적으로 유망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최근에는 대만 TSMC가 미국 공장 투자 규모를 기존보다 3배가량 확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재차 화두로 오른 모양새다. 2일(현지시간) 애리조나주 지역 매체인 ‘피닉스 비지니스 저널’ 등 외신은 “TSMC가 피닉스시에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 투자규모가 기존 계획보다 3배 커질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신규 단지는 6개의 반도체 공장을 포함하는 ‘메가 사이트(mega site)’로 총 건설 비용은 기존 발표됐던 120억 달러(약 13조원)와 비교해 3배에 달하는 350억 달러(약 39조원)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한 것. 당초 TSMC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애리조나주 피닉스시에 120억 달러를 투자해 5나노 공정의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