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철 편집국장
홍준철 편집국장

여야 대선 후보군들이 속속 대선링에 오르고 있다. 경쟁자들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대선열기로 달아오르고 있다. 본선 무대에 오르기전 각당은 경선을 통해 후보를 결정해야 한다. 경선 승리를 좌우할 경선룰은 여야 잠룡들에겐 또 다른 전쟁이다. 경선룰 싸움에서 질 경우 승리도 물 건너 갈 수 있다. 

일단 여당을 보면 오는  9월 10일까지 후보를 선출해야 한다. 일단 예비후보가 7인 이상이어서 예비 경선(국민여론조사 50%, 당원 여론조사 50%)을 통해 6명으로 컷오프를 한다. 민주당에서 출마선언을 했거나 거론되는 대선 후보만도 대략 9명(가나다순-김두관·박용진·양승조·이광재·이낙연·이재명·정세균·추미애·최문순)이다. 컷오프가 끝나면 바로 7월3일부터 4일 양일간 경선 후보자 등록과 함께 선거인단 모집이 시작된다. 민주당은 지난 2017년 1월 당헌을 개정해 '완전국민경선제'를 채택했다. 전국대의원·권리당원·국민·일반당원.재외국민이 모두 1표씩만 행사할 수 있다. 전국대의원과 권리당원은 자동으로 선거인단에 포함되지만, 국민과 일반당원은 선거인단 참여를 신청해 본인 인증을 거쳐야 한다. 

어느 캠프가 얼마나 더 많은 선거인단을 확보하느냐가 승패의 핵심 변수가 될 수 있다. 지난 2017년 대선 경선 당시 민주당은 선거인단으로 214만4840명을 모집했고, 당시 후보였던 문재인 대통령은 유효투표 수 164만 2640표 중 총 93만 6419표(57.0%)를 얻어 후보로 선출됐다. 문제는 비문.비주류인 이재명 지사와 주류인 친문의 입장이 극과 극이라는 점이다. 당내  주류를 등에 업은 친문 후보는 당심에서 앞서고 민심에서는 이 지사가 앞선다. 

결국 한정된 당원.대의원 숫자와 얼마든지 모집할수 있는 일반국민 숫자 사이 격차를 줄이기위해 이 지사와 친문 후보간 민심과 당심 가중치를 두고 치열한 ‘밀당’이 예상된다. 97년 대선에서는 이인제 후보는 경선룰을 문제삼아 탈당, 제3당으로 출마해 이회창 후보를 물먹이기도 했다. 만약 1차에서 이 지사가 과반이상을 얻지못해 결선투표제로 갈 경우에도 룰이 또 변수가 될 수 있다. 모바일투표, 온라인 투표, 여론조사 등 방식에 따라 결선에 오른 후보간 희비가 교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국민의힘은 당헌·당규상 대선후보를 현행 선거인단(당원) 투표 50%,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뽑는다. 당심과 민심이 반(半), 반 반영되는 것이다. 국민의힘내  대선주자들은 조직에 앞서 있다는 자신감이 있는 반면 윤석열.안철수.최재형 등 당밖 인사들은 인지도가 높다는 점에서 국민여론을 중요시할 공산이 높다. 물론 경선룰이 결정되기 전에 입당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입당을 하지 않고 야권 단일화 과정을 거친다해도 룰이 중요하다. 윤 전 총장이 대선 출마를 공식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국힘 입당에 즉답을 피한 배경이다. 본인이 대선 후보가 되기위해서는 당밖에서 머물다 국힘 대선 후보와 여론조사를 통해 원샷 경선으로 후보를 결정하는 것도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여야 모두 경선룰을 정하기위한 대선 기획단이 출범했거나 출범 임박했다. 선거는 인물간 대결이지만 박빙의 구도속에서는 룰이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정치적 운명이 갈렸다. 2012년  손학규와 정동영, 이명박과 박근혜 운명이 바뀌었다. 3김 시대가 가고 이명박.박근혜, 노무현.문재인 등 정치권 스타들마저 뒤안길로 사라지면서 당심과 민심을 다 가져갈 수 없는 정치현실이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말이 있다. 여야 모두 제3후보가 아닌 경선룰이 다크호스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