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치매 사망률 지난해 10만 명당 17.1명… 2021년 대비 5.5명 증가
보건복지부 2024년부터 ‘치매관리주치의’ 사업으로 체계적 치료방안 확대

치매 예방 운동 중인 어르신들. [뉴시스]
치매 예방 운동 중인 어르신들. [뉴시스]

[일요서울 | 박정우] 통계청에 따르면 2072년 생산연령인구는 1667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44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노령 인구 증가와 함께 치매 환자 수도 늘면서 서울시 치매 관련 사망자 수도 10년간 2.7배 증가한 상황.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기록적 한파가 예상돼, 치매 어르신에 대한 각 지자체 대책이 시급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는 내년부터 치매 어르신 보호를 위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서울시는 올해부터 안전장치인 ‘스마트기기’ 보급 등 대안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다.

우리나라 인구가 내년부터 계속 감소해 50년 뒤에는 1977년 수준인 3000만 명대 중반이 되며,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인 1700만 명은 고령 인구일 것으로 분석됐다. 더불어 생산연령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이 차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22~2072년)’에 따르면 국내 생산연령인구가 급속도로 하락할 전망이다. 출생률과 기대수명이 현재 예상대로 현실이 되면 2072년 생산연령인구는 1667만 명까지 떨어진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올해 944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에는 1000만 명을 넘어서고 2072년에는 1727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 인구 구성비는 지난해 17.4%에서 빠르게 증가해 2025년 20%, 2036년 30%, 2050년 4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70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592만 명에서 2033년 1000만 명을 넘고, 2072년에는 1474만 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0~14세의 유소년 인구는 지난해 595만 명이었으나, 2040년 388만 명, 2072년 238만 명 수준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초고령화 사회 오는데, 치매 어르신 돌봄은 누가?

사실상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치매 어르신 생활, 안전 등에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체계적인 대안 마련이 이뤄지지 않으면, 더욱 큰 사회적 비용을 치를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인구 고령화와 함께 서울시 내 치매로 인한 사망자 수도 10년간 2.7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전문가들은 치매는 경증일 때 잘 발견해야 해 지자체와 지역 주민, 정부가 힘을 합쳐 공적 돌봄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28일 서울시 공공데이터의 ‘서울시 치매 사망자수 및 사망률 통계’에 따르면 2012년 인구 10만 명당 5.9명에 불과했던 치매 사망률은 2022년 17.1명으로 2.89배 높아졌다. 2021년 전과 비교해도 5.5명이 증가한 수치다.

치매는 주로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이나 뇌혈관 질환으로 뇌조직이 손상되면서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고령화로 인해 수명이 늘고 동시에 치매 환자도 늘면서 사망률도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2017년 9월부터 전국에 치매안심센터 256개소를 설치했다. 등록 치매 환자 가운데 독거 환자의 비율은 32.3%. 치매 증상이 와도 돌봐줄 보호자가 없어 더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

더 추워지는 겨울, 한파 특보에 치매 어르신 ‘비상’

지난 21, 22일 서울의 아침 체감온도는 영하 21도까지 내려갔다. 지난 20일 기상청은 서울, 경기, 강원, 충청, 경상, 전라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 경보 및 주의보를 내렸다. 이런 가운데 치매 어르신의 사망 사건도 들려오고 있다.

한파와 대설특보가 내려졌던 전북 무주에서 실종된 80대 치매 어르신이 이틀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치매 어르신의 가족은 사망 전날 “혼자 사는 어머니가 연락되지 않는다”라고 신고했지만, 자택 인근 산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

지난 19일에는 종로구시설관리공단 직원 2명이 치매 어르신을 발견해 조치를 취했다. 90대 치매 어르신은 맨발로 길을 잃고 헤매고 있었으며. 치매로 인해 인적사항을 기억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파 등 악조건이 겹치며, 올겨울 치매 어르신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보건복지부·서울시 치매 어르신 보호 체계 마련

보건복지부는 지난 12일 올해 제2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을 열고 치매 전문의의 맞춤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착수를 의결했다. 사업은 내년 7월부터 시행된다.

2024년부터 20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2025년에는 의료기관 및 환자의 참여 정도 등을 감안해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치매환자가 치매 전문의를 선택해 체계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받고, 만성질환 등 다른 건강문제도 통합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치매 어르신 실종 예방과 안전돌봄을 위해 손목시계형 ‘스마트지킴이’를 보급했다. 지난 3월 시는 치매 어르신의 실종 예방과 안전 돌봄을 위해 이동 경로, 현재위치, 긴급호출, 안심존 이탈 알림 등 주요 동선을 실시간으로 보호자에게 알려 실종을 예방하고, 심박 이상 시 경고알림, 복약 시간설정 및 알림, 낙상, 활동량 등의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기기를 1800여 대가 무상 보급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계가는 “배회 어르신 전용으로 스마트 기기를 보급해, 실종 상황 시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김진만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앞으로 치매 어르신 대상으로 실종 예방과 안전 돌봄을 위해 스마트지킴이의 보급을 확대하고, 치매 어르신과 그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데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