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세력’ 또는 ‘운동권’에 대한 정치적 위상은 이제 재정립되어야 한다. 민주화 투쟁 세력하면 암울했던 권위주의 시절 민주화를 위해 순절한 투사로만 미화되곤 한다.

그러나 민주화 투쟁의 주류는 김대중 대통령 전과 후로 나뉜다. 김 대통령 전의 민주화 투쟁은 ‘4.19 혁명‘처럼 대한민국의 기본인 자유민주체제를 지키려는 우 편향 정치 운동이었다. 그러나 김 대통령부터의 민주화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정체성을 벗어나는 좌편향 투쟁과 겹쳤다. 좌편향 민주화 세력 중에는 반미•반일-친북•친중, 반자유시장•반체제, 태생적 공산주의, 김일성 1인우상화 주사파 추종, 잔혹한 폭행치사 행적 등이 혼재해 있다. 민주화 투쟁은 저와 같이 좌•우 둘로 나뉘었다. 그래서 두 갈래 민주화 운동의 본질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재정립할 때가 되었다. 

민주화 투쟁은 1950년대부터 이승만 대통령의 권위주의 권력에 대한 자유민주 수호의 저항으로 시작됐다. ‘4.19 혁명’처럼 학생과 교수가 앞장섰고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비정부 민간조직체가 함께 나섰다. 그들은 자유민주, 시장경제, 친미•반공 등을 기본으로 삼았다. 그러나 ‘유신 독재’ 붕괴 이후 김대중•노무현•문재인에 이르러선 민주화 세력의 기본이 달라졌다. 반미•친북•친중으로 좌편향하면서 전통적인 우 편향 민주화 세력과는 달리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정체성에 역행했다. 김 대통령은 북한 김정일에게 4억 5천만 달러의 현금을 불법 송금해 주었고 김에게 퍼주고 끌려다니며 비위 맞춰주기에 급급했다. 여기에 민주화는 공산화의 동의어로 의심받기 시작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북한 핵무기를 “방어용”이라며 북한 편에 섰고 요직에는 386 운동권을 비롯 친북•종북 전력자들을 대거 앉혔다. 그는 실정법 위반 전과자들을 중용, 혁명군처럼 기존 법질서를 뒤집는 듯했다. 노•문의 친북 전과자 중용은 친북좌파 정책을 밀어붙이고 자신들의 과거 친북좌편향 행적을 정당화하기 위해서였다. 문재인은 김정은을 “수석 대변인”으로 섬겼다. 김•노•문 세 권력들은 말로는 “우리는 다르다”며 깨끗한 척하면서도 부패타락•폭력화하기도 했다. 오늘의 이재명 민주당도 “파시스트 행태”라고 당내에서 지탄되었다. 

민주화 투쟁세력은 집권하면서 좌파 기득권 세력으로 군림했다. 민주화는 운동권이 홀로 싸워 쟁취한 게 아니다. 수많은 정치인, 언론인, 교수, 종교인, 학생, 비정부기구 종사자 등이 일신상의 위험을 무릅쓰고 권위주의 권력에 저항해 거둔 열매였다. 1980년대 중반 신군부 권력을 종식시킨 ‘6월 항쟁’도 서울 도심에서 근무하던 직장인들이 넥타이 맨 채 대낮 시위에 ‘넥타이 부대’로 참가한 데서 촉매 될 수 있었다. 필자도 박정희•전두환 권위주의 정권 시절 동아일보 논설의원으로서 자유민주 체제를 지키기 위해 감옥에 가거나 테러당할 걸 각오하고 사설과 칼럼을 썼다. 새벽 1시에 정보부로 끌려가기도 했다. 그렇게 모든 자유민주 수호자들은 민주화를 위해 길고 혹독한 시련을 참고 견뎌 냈다. 그랬으면서도 그들은 민주당이 집권하였을 때 권력지분을 달라고 요구하지 않았고 오직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백의종군했다.

거듭 강조하거니와 대한민국 ‘민주화’는 좌편향 ‘운동권’이 홀로 쟁취한 전유물이 아니다. 국민 모두가 권위주의와 맞서 성취한 인고의 결정체이다. 도리어 운동권은 좌편향 집권 세력에 올라타 감투 썼고 부패했으며 부귀영화를 누리기 위해 수구좌파로 전락하기도 했다. 일부 1980~90년대 운동권 학생들은 죄 없는 젊은이들을 감금하고 ‘경찰 프락치’로 몰아 고문해 숨지게 했다. 고문치사 당한 민간인이 3명이나 되었다. ‘민주화 세력’ 위상은 이제 객관적으로 재정립되지 않으면 안 될 때가 되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