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핵심 지지층 겨냥해 노선 더욱 과격해져…공방 격화

2025-11-25     장덕수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1월 2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케이터틀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 국민의힘 전국 원외당협위원장 워크숍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뉴시스]

여야가 각각 핵심 지지층을 겨냥한 강경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으며 대립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더 강하게 싸워야 한다”고 내부 결집을 촉구했고, 민주당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석방 가능성에 대한 지지층 우려를 근거로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강경 드라이브를 선언했다.

국민의힘, “더 강하게 싸워야”…내부 결집·강경 노선 강화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지난 24일 서울 마포구에서 열린 ‘국민의힘 2025 전국원외당협위원장 워크숍’에서 “우리가 움츠러들어서 우리끼리 싸움을 하기 전에 당당하게 나서서 이재명과 더불어민주당과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민주당은 정권 시작하자마자 3대 특검을 풀어놓고 지방선거까지 이 프레임으로 싸우며 대한민국 시스템을 계속 무너뜨릴 것”이라며 “이 싸움에서 이기는 길은 민주당이 대한민국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 국민께 알리고, 나라를 지킬 비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장 대표는 “우리가 무슨 말을 하면 민주당이 이 전쟁을 끝내주나. 고개를 숙이면 고개를 부러뜨리고 허리를 숙이면 허리를 부러뜨릴 것”이라며 강경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이제 우리의 싸움터로 끌고 와 새로운 체제 전쟁을 해야 한다”며 “더 당당하게, 더 강하게 싸워야 할 때”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워크숍을 통해 내년 지방선거를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한 선거’로 규정하며 전략적 결집을 촉구했다.

김도읍 의원(부산 북·강서을) 정책위의장은 “이재명 정권의 반헌법적 행태를 멈추기 위해선 지방선거 압승밖에 없다”며 곧 공약개발단을 출범해 정책 드라이브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 이언주 최고위원이 11월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민주당, 지지층 불안 달래며 ‘내란전담재판부’ 재추진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를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법원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잇달아 기각한 데다, 내년 초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 기한 만료 후 석방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지지층의 우려가 커진 것이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병기 의원(서울 동작갑)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내란전담재판부는 당연히 설치해야 하는 국민의 명령”이라며 “대통령께서 귀국하면 차질 없이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내란 사범 사면권 제한까지 추진하겠다고 언급하며 강경 행보를 이어갔다.

전현희 최고위원(서울 중구성동구갑)은 “지귀연 재판부의 늑장 재판으로 윤석열 석방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윤석열이 다시 풀려나는 일이 있어서는 절대 안 된다. 내란전담재판부 설치만이 단죄할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박주민 의원(서울 은평갑)도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재판이 지연되고 가볍게 다뤄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고 있다”며 “위헌 논란은 법원이 이미 유사한 배당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민주당은 2심 단계에서 전담재판부를 구성하면 위헌 시비를 일정 부분 피해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법사위 논의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이번 주 중반부터 법사위에서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현재 진행 중인 재판을 뺏어오는 것이 아니라 2심부터 적용하면 위헌성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여야 모두 ‘핵심 지지층 중심’ 전략…대치전선 확대

정치권에서는 이날 여야가 동시에 강경 노선을 강화하며 지지층 결집을 통한 정치적 주도권 확보 전략이 더욱 뚜렷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이 대여 공세와 ‘체제 전쟁’이라는 표현까지 동원하며 강경 메시지를 내놓은 반면, 민주당은 윤 전 대통령 석방 가능성을 지렛대 삼아 내란전담재판부 추진에 속도를 올리며 강성 지지층 요구를 정면 반영한 셈이다.

내년 지방선거와 예산안 심의, 사법 이슈가 겹치는 가운데, 양당이 모두 ‘핵심 지지층 중심 전략’으로 선회하면서 국회와 정치권의 대치전선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