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송승진 기자] 영화 '순수의 시대'는 조선초기 제1차 왕자의 난을 배경으로 감독의 상상력이 더해진 픽션사극이다. 조선 초기 상상력을 뺀 역사적 사료를 보면, 왕자의 난이 일어나기 전부터 정도전과 이방원은 서로가 생각하는 왕의 자리를 두고 치열한 암투를 벌인다.

한걸음 더 들어가서 정도전은 이성계의 여덟 번째 아들 이방번을 왕좌에 앉히기 위해 자신의 정적인 이방원을 명나라 사신으로 보내는가 하면, 사병혁파를 빌미로 왕자들의 수족을 묶고, 그도 모자라 이방원을 비롯해 왕자들을 지방 관료로 차송한다. 이에 반기를 들고 이방원이 정도전을 제거하기에 이르게 되는 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1차 왕자의 난이다.

그럼 영화 '순수의 시대'는 어떤가? 1차 왕자의 난에 그들이 밀고(?) 있는 상상력, '역사 마저 거부한 피빛기록'이라는 영화 카피라이터를 더해보자.

▲ 영화 순수의 시대 포스터

카피라이터만 보자면 극의 분위기는 마치 정도전과 이방원 사이에 등장하는 가상의 장군 '김민재'라는 인물이 그들 사이에서 액션과 술수의 방점을 찍을 것처럼 보인다. 더군다나 허구의 김민재는 인물됨이 강건하고 용력또한 출중한 무장이기에 더더욱이나 그의 활약에 기대를 모으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기대는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 영화의 시작은 그들의 홍보문구와 같이 '왕자의 난' 분위기로 흐른다. 이어 김민재(신하균)의 전투씬이 등장하면서 그에 대한 인물소개는 끝이난다. 그리고 화면을 뒤덮는 정사씬. 이성계의 사위 역할을 맡은 강하늘을 비롯해 이방원 장혁도 정사씬에 등장한다. 정사씬의 상대 역은 오직 엄마의 복수를 위해 기녀이자 이방원이 감춰둔 첩이 되는 '강한나'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왕자의 난'에 상상력을 더 한다고 해도 '그것'과는 거리가 먼 모양새다.

조선을 건국하고 조선의 대법전이라 불리는 조선경국전을 저술한 희대의 인물 정도전의 최측근이자 전군 총사령관인 김민재가, 그 시대 그 만한 인물이 아무리 상상력을 동원한들 이방원이 벌인 미인계에 말려든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 아닌가? 아니 좋게 말을 해서 '미인계'지 실상은 그 시대 예쁜 기녀에게 홀려서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 붇는 아둔한 장군이라고 보면 '딱' 맞다. 시대적 관점으로 볼때 이 부분을 '순수하다'라고 말하는 관객이 과연 몇이나 될까라는 의문부호가 생기는 이유다.

영화를 연출한 안상훈 감독은 언론시사회가 끝난후 이어진 간담회에서 "한 남자가 한 여자에 대한 감정과 한 여자가 한 남자에 대한 감정, 그 욕망이 어떻게 보면 가장 순수하고 가장 바람직한 욕망이 아닐까"라고 밝힌 바 있다.

▲ 영화 순수의 시대 스틸컷

영화에서 정사씬 외에 굳이 기억나는 다른 장면을 꼽으라면 간헐적으로 등장하는 선정적인 액션인데, 이 마저도 극의 맥락과 개연성과는 거리가 멀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안상훈 감독은 "영화에서 보여주고 싶은 이야기는 그 시대와 그 안에서 극적으로 사라진 영웅이나 천재가 중심이된 기록이 아닌 다른 인물들을 담아 보는 것이 '순수의 시대'의 목표였다"며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왕자의 난'이나 역사를 다루는 것과는 다른 방향의 이야기가 나왔다. 기존 화법의 영웅주의나 스토리에 익숙하셔서 영화를 보면 그것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라고 에둘러 표현했다.

즉, 화려한 액션이나 술수, 웅장한 화면구성은 생각만큼 많지 않다라는 말이다. 감독마저 에둘러 인정하고 있는 모습인데 왜 홍보카피라이터에는 '피빛기록'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지 의문이다. '피빛욕망'이나 '넘지 말아야할 사랑' 등등 영화에 관련된 카피라이터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시대적 배경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하필이면 왜, 조선초기 '왕자의 난'이냐는 것이다. 안 감독은 시대적 배경에 대해선 "원래는 김세희 작가님이 쓰신 원작 시나리오가 있었다"면서 "거기에서는 시대가 좀 모호하게 처리가 된 멜로 중심의 이야기였는데 그 감정을 다루기 가장 극적인 시대가 언제일까 하다가 그 때가 조선 건국 당시 혼란기라는 생각을 했다"라고 전했다.

'가장 극적인 시대?' 그렇다 극적이어야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이다. 여기에 대해 영화 관계자들은 "피빛기록이라는 그들의 홍보 카피라이터와 궤를 같이하는 영화적으로 관람객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시선을 끌 수 있는 방법 아니었겠냐"는 조심스러운 추론이다.

▲ 영화 순수의 시대 주연배우 강하늘, 신하균, 장혁

관람객들에게 한장짜리 포스터로 정확한 정보전달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인 것 인정한다. 하지만 포스터를 본 사람들에게 극과는 거리가 먼 카피라이터로 혼란을 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포스터를 보고 또 다른 '왕자의 난'을 기대하면서 관람료를 지불한 관람객들에게 해줄수 있는 최소한의 도리이기 때문이다.

오는 5일 영화 '순수의 시대'는 관람객들의 판정대에 오른다. 관람객이 기대하고 보는 '순수의 시대'와 영화 제작사와 홍보사 그들이 바라보는 '순수의 시대'의 차이점이 얼마나 큰 괴리로 기억될지 오롯이 관객들의 몫으로 남아있다.

songddadda@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