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이 대통령 탄핵에 이은 조기 대선이 화두였다면, 2018년은 지방선거를 포함해 그 어느 때보다 정치적으로 큰 격변의 시간을 보냈다. 특히 대한민국을 휘몰아치는 적폐 청산은 청산하려는 자와 막으려는 자 사이에서 극한 대립과 분열로 치닫고 있지만 해결 기미는 그다지 보이지 않고 있으며, 경제상황 또한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2018년을 한 단어로 정리하자면, 말 그대로 다사다난(多事多難)이다.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지방선거를 통한 지방정부 교체, 사법농단, 사법유치원 비리, 하나하나가 한 해의 큰 획을 그을 만큼 컸던 이슈가 연달아 있는 한 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 해를 정리하는 의미에서 여론조사로 본 2018을 되짚어 보고, 2019년을 준비하는데 있어 반면교사로 삼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 첫 번째 이야기는 지방선거.

2018년 지방선거는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로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의 첫 선거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했다. 여권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서, 야당 입장에서는 기울어진 당세의 회복을 위해서 서로가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싸움이었다.

국민들 역시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더하기 위한 안정론을 주장하는 측과 견제론을 통해 야당을 지지하는 측으로 나눠져 갈등을 겪기도 했다. 특히, 다수의 여론조사결과에서는 지방선거 투표의향이 80~90%에 육박할 만큼 국민들의 관심도는 상당히 높았고, 이는 실제 투표율 60.2%로 이어졌다. 1995년 첫 민선 지방선거를 투표율인 68.4%를 제외한다면, 역대 2번째로 높은 투표율이었다.

투표결과는 2006년 지방선거 결과의 정반대였다. 시도지사 17석 중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14석을 석권한 반면, 야당은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제주도지사 단 3석만 가져가게 되었다.

제주도지사의 경우, 무소속 당선이기 때문에 야당으로 보기 모호한 부분도 있다. ··군의장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151, 자유한국당 53, 민주평화당 5, 무소속 17석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결국 지방정부와 중앙정부 모두 문재인정부로 일원화가 된 지방선거로 결론 났다.

또한 득표율을 보면 광역부터 기초까지 평균적으로 60%대의 득표율을 보였는데, 이는 문재인 정부의 60%대 국정운영만족도와 매우 흡사한 결과로서, 당시 국민이 얼마나 문재인 정부와 여당의 승리를 원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다. 이처럼 결과는 문재인 정부의 대승으로 끝났지만, 야권으로서도 치열한 경쟁을 보이며, 마지막까지 희망을 놓지 않으며,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지난 지방선거 당시, 한국갤럽, 한국리서치, 리서치앤리서치, 조원씨앤아이 등 수많은 조사기관에서 후보 적합도 조사를 실시했는데 후보자 등록일인 5.25일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만도 광역단체장선거 120, 교육감선거 104, 기초단체장선거선거 335, 정당지지도 12건 등 총 571건에 달했다.1) 결국 2017년부터 이어진 여론조사 홍수는 2018년에 들어와 그 최고치를 경신한 샘이다.

여론조사로 본 2018, 그 첫 번째 이야기인 지방선거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문재인의, 문재인에 의한, 문재인을 위한선거였다. 2018년 지방선거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입증한 최고의 선거였다. 이제 문재인 정부는 2018년의 국민의 열망을 2019년에 어떻게 이어갈지 매우 중요하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