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이용섭 광주시장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의장과 손을 맞잡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오후 광주 서구 광주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해 이용섭 광주시장과 이원희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의장과 손을 맞잡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광주시와 현대차의 광주완성차 합작공장 설립 협상이 극적 타결됐다.

업계는 국내 제조업을 부활시키는 새로운 노사관계 모델이 될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광주시는 2014년부터 '광주형 일자리'를 준비해왔다. 31일 현대차와 체결한 광주 완성차 합작공장 설립 1차 투자협상은 광주형 일자리의 첫 성과다. 

신설법인은 자본금  2800억원 등 총 7000억원 규모로 설립된다. 광주시측(광주시가 출연하는 투자자)이 자본금의 21%인 약 590억원을 출자해 최대주주로, 현대차가 530억원을 출자해 19% 지분 투자자로 참여한다. 광주시는 향후 약 1680억원 규모의 60% 지분에 대해서는 광주시가 지역사회, 산업계, 공공기관, 재무적 투자자 등을 유치키로 했다.

신설법인 전체 근로자 평균 초임 연봉은 3500만원 수준(주 44시간 근무 기준)부터 시작된다. 이는 2017년 현대차 1인당 평균임금 9200만원의 절반 미만이지만 인력유출로 고통받던 광주지역은 이번 협약으로 1만2000개의 괜찮은청년 일자리를 확보하게 된다. 현대차 역시 광주 합작공장을 통해 경형SUV를 내놓고, 고임금에 따른 경제성 문제로 재진입하지 못했던 국내 경차 시장에 다시 뛰어들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가 넘어야 할 과제는 산적해있다.

현대차 국내 공장이 재고 누적과 판매부진으로 가동률 저하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인데다 현대차와 기아차 노조를 비롯한 민주노총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7000억원에 이르는 설립비용 마련도 남은 과제다. 자본금 2800억원 중에서도 광주시 590억원, 현대차 530억원을 제외한 1680억원(60%) 투자는 추가 유치해야 한다. 회사 손실 발생에 따른 책임소재 등도 향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수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에 이른만큼 부진에 빠진 한국 제조업이 부활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