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오는 26일 인사청문회에서 북한 인권문제에 관한 소신 발언을 이어갈지 주목된다. 그는 지난 11일 마지막으로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 '현 정부의 북한 인권문제 접근 방식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 정리해서 밝힐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북한 인권문제 접근 방식에 대한 김 후보자의 과거 발언은 현 정부의 인식과 차이를 보인다. 김 후보자는 지난해 1월 출간된 저서 '70년의 대화'에서 "대북정책에 대한 합리적 보수의 지지를 구하고, 초당적 협력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라며 "특히 한국의 대북정책이 국내외적인 정당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북한 인권문제 해결에 대한 진전된 논의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이기도 하다. 지난해 남북이 3차례의 정상회담, 그리고 정상 간 합의를 이행하기 위한 고위급회담과 분야별 실무회담을 수차례 진행했으나 '인권'을 의제로 한 만남이나 인권에 관한 협의 결과는 없었다. 

북한의 반감 때문이다. 북한은 서방 국가를 중심으로 거론되는 인권 유린 주장은 자신들을 압박하기 위해 꾸며낸 것이며, 이를 토대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내정간섭이라고 맞서고 있다. 나아가 인권 문제를 계속 제기할 경우 '대화와 평화'의 흐름이 '대결과 긴장격화'라는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될 거라고 엄포를 놓고 있다. 

때문에 정부는 북한 인권문제를 수면위로 올리지 않고 있다. 비핵화 협상이 여전히 살얼음판 위를 걷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 인권 문제까지 다룰 경우 자칫 판이 깨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북한에 억류된 한국인 송환 문제에 관한 논의가 진전이 없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정부 안팎에서는 이러한 전략이 부메랑으로 돌아올 거라는 우려도 없지 않다. 그러나 정부는 당장 북한을 인권문제로 압박하는 것보다는 개혁·개방을 유도하는 것이 보편적 인권 증진에 도움이 되며, 이를 위해 현재 단계에서는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협상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보수 야권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방향을 비판해왔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계기마다 "북한 인권에 대한 소극적 인식이 매우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해왔다. 또한 정부가 북한인권재단 예산을 축소한 것 등에 대한 문제제기도 계속해왔다. 

김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이러한 정부의 북한 인권문제 접근 방식에 대한 김 후보자의 입장 표명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논란이 됐던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채택에 대한 입장 표명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자는 다만 자신의 저서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둘러썬 지나친 이념적 대립은 바람직하지 않다"고도 했다. 청문회에서 정치권의 입장 표명 요구에 어떻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한편 김 후보자는 12일부터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과 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했다. 또 지난 11일을 마지막으로 취재진과의 출근길 질의응답도 하지 않고 있다. 과거 발언에 기반한 논란의 확대 재생산을 최소화하며 청문회를 준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