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6만여 가구의 아파트값이 3년 전인 2005년 8·31대책 이전 수준까지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부동산1번지 스피드뱅크(www.speedbank.co.kr)가 수도권 총 250만5645가구의 아파트(재건축 및 주상복합 포함, 신규 입주 아파트 제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05년 8월31일 당시 매매가격에 비해 하락하거나 보합에 머무른 아파트는 총 6만496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IMF 외환위기 당시에 비견될 만큼 극심한 경기 불황의 여파로 매수세가 꽁꽁 얼어붙으면서 최근 몇 년간 급등했던 집값이 깊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매년 물가 상승률을 포함한 기회비용까지 감안할 경우 사실상 실제 손실률은 더 커진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총 952751가구 가운데 2.5%인 2만3907가구, 경기도 역시 전체 100만7252가구의 2.5%인 2만5488가구의 아파트값이 8·31대책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

이어 신도시는 전체 22만6045가구 중 3.8%인 8624가구가 8·31대책 이전 수준으로 내려앉아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인천은 31만9597가구 가운데 0.8%인 2477가구만이 8·31대책 수준으로 내려가 침체 기조가 가장 덜했다.

특히 8·31대책 이후 급격한 가격 상승을 보이며 버블 경고를 받았던 ‘버블세븐지역’은 전체 아파트 가운데 8% 가량이 8·31대책 시점보다 가격이 떨어지거나 보합에 머물렀다. 10채 중 1채 가까이 3년 전 가격으로 회귀한 셈이다.

송파구는 총 6만5758가구 중 21%에 해당하는 1만3982가구의 아파트 가격이 8·31대책 이전 수준으로 떨어져 하락 비중이 가장 두드러졌다. 분당신도시도 7만8918가구 가운데 11%에 가까운 8620가구가 2005년 8월 당시 가격으로 내려앉았다.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미리 185㎡의 경우 지난 2005년 8·31대책 당시 15억5000만원까지 호가했던 매매가격이 2억원 떨어져 현재 12억~13억5000만원을 형성하면서 2005년 5월 수준까지 내려가있다.

재건축아파트인 가락시영2차 62㎡는 8.31대책 당시 9억3000만원을 호가했으나 지금은 7억7000만~7억9000만원이고, 잠실주공5단지 119㎡ 역시 11억5000만원선이던 매매가가 10억5000만원선까지 떨어진 상태다. 3년전 10억원까지 호가했던 서초구 잠원동 한신21차 132㎡는 8억5000만원으로 떨어져있다.

분당 정자동 주상복합아파트 로얄팰리스 211㎡는 15억5000만원까지 호가했으나 지금은 11억~13억5000만원선이며 10억~12억원선이던 수내동 양지금호 165㎡는 7억9000만원에도 매물이 있다. 용인 수지구 성복동 LG빌리지3차 304㎡는 2005년 8월 당시보다 2억5000만원 하락해 13억5000만원선이던 매매가가 10억~12억원까지 낮아졌다. 3년 전 가격이 5억원까지 호가했던 용인 죽전동 죽전현대홈타운3차1단지 109㎡는 3억9000만원에도 매물이 있다.

지난 2005년 발표된 8·31대책은 참여정부가 투기수요 억제를 통한 집값 안정을 목표로 내놓았던 부동산 안정대책의 종합 결정판이었다. 주택 및 토지 투기 억제와 서민 주거 안정을 목표로 양도세 중과세 및 종합부동산세 등 세제를 강화하는 한편, 토지시장에 대한 규제책과 판교를 비롯한 공공택지의 공영개발과 분양가 규제 등이 포함됐다.

특히 투기 수요를 차단하겠다는 취지로 양도세 실거래가 과세 및 2주택자 양도세 중과 50%를 적용하기로 한 데 이어 공시가격 ‘9억원 초과 주택’이던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을 ‘6억원 초과 주택’으로 확대하고 과세 기준도 ‘인별’합산에서 ‘세대별’ 합산으로 바꾸었던 것이 바로 이때였다.

이로 인해 종부세 등 보유세 부담이 크게 늘어난 고가주택 수요가 줄어들었고, 강남권을 비롯한 버블세븐지역이 타격을 입었다.

또 기반시설부담금제 도입 등 개발이익환수 장치로 수익성이 하락한 재건축도 8·31대책 직후 하락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