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울·지방 상생 선언 '서울선언문' 선포
첫 중장기 전략 지역상생 계획…인적·정보·물자
농촌체험 '서울농장' 연내 괴산·상주·영암 첫 선
전문가·공무원 '찾아가는 혁신로드' 정책컨설팅
도시농업 종합플랫폼 '농업공화국' 내년 마곡에

서울시청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시청 (사진=서울시 제공)

[일요서울ㅣ이완기 기자] 서울시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2022년까지 총 2403억원을 투자해 청년들의 지방 취·창업을 지원한다. 또 기존에 교육 프로그램 중심이었던 귀농·귀촌 지원은 실제 농가에서 살아보며 배울 수 있는 '체류형'으로 진화한다. 

서울시는 22일 서울과 지역 간 양극화·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 29개 기초자치단체와 '서울-지방 상생'을 선언하고 '지역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2022년까지 총 2403억여원을 투자해 ▲인적(지역 정착·활동 지원 17개) ▲정보(혁신 기술·제도 공유 10개) ▲물자(자원의 유기적 연계 9개) 분야에서 총 36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서울 청년의 활동무대를 지방까지 확장하고 지방청년들에게는 서울의 풍부한 교육 자원과 공간 인프라를 확대 개방한다. 특히 지방에서 취·창업을 꿈꾸는 서울 청년들을 발굴하고 지원해 청년들에게 새로운 일자리 기회를 주고 침체됐던 지방에는 활력을 이끈다. 

창업모델은 연간 100명의 청년(만 19세~39세)을 선발한다. 창업자원 조사부터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까지 단계별로 지원된다. 2022년에는 연 200명으로 연차별로 참여 청년 수가 확대된다. 

선발된 팀은 사업비로 연 2000만~5000만원을 받는다. 농산촌 창업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유통, 지역재생·마을활성화, 문화·복지·정보서비스 등 분야의 창업이 지원된다. 

고용모델은 연간 200명 내외를 선발해 지방도시의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지원한다. 시와 해당 지자체가 협력해 기업에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2022년 연 300명으로 규모가 확대된다. 

지방에 살고 있는 예비 대학생이 서울을 방문한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내발산동 공공기숙사의 공실이 게스트하우스로 개방된다. 서울창업허브의 취·창업 교육 등 시 운영 시설의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된다. 올해 150명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400명으로 늘어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도시와 농촌의 미래를 위해 청년 교류가 매우 중요하다. 청년들이 농촌이나 지방에서 취·창업을 할 수 있게 시가 일정한 급여나 수당을 제공하겠다"며 "올해는 300명이지만 추진을 해보고 괜찮다고 판단되면 내년에는 1000명 정도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정협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서울 청년들은 버티는 게 삶의 목표가 됐다. 지방 청년들은 공정한 경쟁이 부족하다. 서울 청년에게는 지방 일자리를 연계해 새로운 기회를 주겠다"며 "마케팅, 복지 등 각종 분야에서 지역의 트렌드를 발굴해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귀농·귀촌 지원은 기존 교육 프로그램 중심에서 교육(탐색), 단기 농촌살이 체험, 실제 농가체류 총 3단계의 체계적 지원으로 예비 귀농인의 안정적인 지방 정착을 돕는다. 

이를 위해 서울시민이 지역에서 단기 농촌살이를 체험해볼 수 있는 '서울농장'이 올해 괴산, 상주, 영암에서 첫 선을 보인다. 2022년까지 전국 총 10개소가 차례로 문을 연다. 

시는 연간 60~70여 가구를 선발해 9~10개월간 실제 농촌살이 기회를 제공하고 정착을 지원한다. 영주, 무주, 구례 등 6개 지자체와 협업, 시는 참여자 모집과 교육비 일부(60%)를 지원하고 해당 지자체는 거주·체험 공간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시는 축적한 혁신기술과 정책 노하우를 지방 도시에 공유·전수한다. 서울의 정책이 각 지역현장의 실태에 맞게 안착될 수 있도록 올해부터 '찾아가는 혁신로드'가 시작된다. 

분야별 공무원과 민간전문가 등 '혁신자문단'이 직접 현장으로 가서 지역 정책을 진단하고 서울시 혁신사례의 접목방안 등을 컨설팅한다. 올해 3개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2022년 연 9개 지자체로 연차별 확대된다.

도시재생 등 서울이 선도적으로 시행 중인 혁신정책을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서울정책연수프로그램'도 강화된다. 도시재생, 신재생에너지, 사회적경제 등 테마별 집중연수코스가 신설된다. 참여자 규모도 올해 5500명에서 2022년 7000명까지 늘어난다. 

시는 지역의 농특산품을 상설판매부터 도시농업체험까지 다양하게 이뤄지는 상생거점 복합공간도 확대하고 기능을 강화한다. 

도시농업 체험 복합공간인 '농업공화국(가칭)'이 2021년 준공을 목표로 마곡에 조성되고 있다. 지상 3층 규모로 지역농특산물 홍보·체험관, 농업전시관, 씨앗은행, 체험농장, 텃밭 직거래 장터 등으로 구성된다. 시는 이곳을 지역의 특산물과 정보, 커뮤니티 등 상생자원이 모이는 허브공간으로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문화·예술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들을 중심으로 방문공연, 전시교류 등이 많아진다.

시는 세종문화회관 소속 예술단(오페라단·무용단·뮤지컬단)을 중심으로 지방공연을 확대한다. 지난해 연 18회에서 올해 20회로, 2022년 28회로 연차별로 늘릴 계획이다. 서울시향은 내년부터 클래식 공연을 접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찾아가는 클래식 공연’을 시작한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지방 상생발전 좌담회'를 열고 상생협력을 위한 서울시와 25개 자치구의 책임과 정책방향을 담은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을 선포했다. 이어 상생협력에 뜻을 같이하는 29개 기초자치단체와 '상생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지방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은 ▲서울·지방 청년에 대한 집중지원 ▲주민 주도 풀뿌리 상생교류활동 지지 ▲서울의 교육·정보·기술·공간 인프라 개방과 문화자원 제공 ▲지방의 물자가 안정적이고 공정하게 판매될 수 있도록 지원 ▲기계적 교류방식이 아닌 비례적 상생교류를 위한 서울의 책임 강화 등이 골자다.

박 시장은 "농촌과 지방의 희생·헌신으로 서울이란 도시가 이런 위상을 갖게 됐다. 2050년 이내에 대부분의 지방이 소멸할 것이란 어둡고 끔찍한 예측이 나오고 있다"며 "지방 소멸이 눈앞에 와있는데 번영을 서울이 혼자 누릴 수는 없다. 장기적으로 지방이 발전하고 살아나면 그것의 힘이 수도인 서울에 긍정의 선순환으로 올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서울과 지방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공멸로 갈 수밖에 없다. 오랜 시간 이어져 온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상생발전은 우리 모두의 시대적 과제다. '편중과 과소'의 악순환을 끊고 '공존과 상생'이라는 선순환의 미래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