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ㅣ장휘경 기자] 서울시민 2명 중 1명은 아이옷, 장난감 공유, 따릉이 등 공유 서비스 이용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공공서비스 정책 중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공유서비스 정책이 활성화되기 위해선 공유기업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을 통해 서비스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24일 서울시는 공유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2019년도 공유도시 정책 인지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5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표본 오차는 ±3.1%p, 95% 신뢰구간)으로 지난 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실시됐다.

서울시 공유도시 정책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는 62.7%로 조사됐다. 2016년 상반기에는 49.3%, 2017년 상반기에는 58.3%, 2018년 59.6% 보다 매년 소폭 상승하고 있다. 시민 98.8%는 공유 정책 중 '하나 이상 들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공유 정책 개별 사업 인지도는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95.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나눔카(카셰어링)가 71.6%, 주차장 공유사업이 53.6%, 공공데이터개방이 33.2%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공유정책 및 서비스를 한 가지라도 이용해본 시민 비율은 59.6%이다. 그 중 '공공자전거 따릉이'가 44.5%로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이용자라고 응답한 시민중 지난 1년간 이용 횟수는 '공공데이터 개방'이 평균 25.2회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중복응답을 포함해 공유 정책 개별 사업 만족도는 '아이옷·장난감 공유사업'이 96.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공공자전거 따릉이 93.6% ▲나눔카 92.1% ▲공공데이터 개방 89.9% ▲주차장 공유 89.0% 순으로 평균 90% 이상이 만족한다고 답했다. 

서울시 공유도시 정책 인지도(62.7%)에 비해 서울시 공유 정책 개별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월등히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공유 정책·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장소의 편리성이 65.4%였다. 다음으로 '간단하고 편리한 이용 절차(43.3%)' '경제적 이익(39.7%)' 등으로 파악됐다.

반면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장소가 불편해서(35.4%)'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31.1%)' '홍보 부족(24.2%)' '이용 절차 및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서(22.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공유 정책이 시민의 삶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묻는 질문에시민 81.1%는 공유 정책 및 서비스가 시민 삶을 개선하는데 기여했다고 응답했다.

향후 서울시 공유 정책 서비스 이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따릉이 81.8%>공공데이터 개방 74.6%>공구 대여소 73.9% 순으로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했다.

민간 공유 서비스 인지도는 ▲차량 및 승차 공유 68.9% ▲공유 자전거 61.2% ▲전동 킥보드 공유 54.4% ▲배달 공유 52.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민간 공유 서비스중 향후 활성화 희망 분야는 애완동물 돌봄, 배달 공유 등 '생활 및 서비스'가 3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자전거, 차량 등 이동수단(모빌리티)' 21.8%, '유휴시설 등 공간' 15.8%, '재능·지식' 14.3%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공유기업 지침(가이드라인) 마련으로 공유 서비스 신뢰성 확보(51.7%)가 서울시 공유 활성화를 위한 중점 추진 사항으로 꼽혔다. 또 공유 서비스 홍보(50.2%), 새로운 공유 서비스 발굴 및 제공(50%)순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향상을 위한 서울시 정책은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보험 가입 등 제도적 안전 장치 마련(34.4%)이 가장 높았다. 이어 ▲공유 부문 사용자와 노동자의 안정적 경제활동 보장(23.3%) ▲이용자 개인정보 보호(18.1%) ▲자녀 안심, 여성 안심 제도 강화(13.7%)순으로 조사됐다.

정선애 서울혁신기획관은 "이번 조사 결과가 말해주듯이 공유 정책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유 서비스 신뢰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며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안전 장치 마련과 공유 부문 사용자와 노동자의 안정적인 경제 활동 보장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며 "서울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그동안의 공유도시 정책을 평가하고 공유 문화 확산과 다양한 공유 정책을 포함한 향후 공유서울 3기 기본 계획을 마련하는데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