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레 노랫가락이 흥겨운 곳 강화 용두레마을

(위부터 차례대로) 강화갯벌센터 외관 - 오상리고인돌 - 강화갯벌센터에서 새들을 관찰하고 있다. - 용두레마을 전경 - 분오리돈대에 올라 갯벌을 바라보는 아이 - 하점면 오층석탑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는 들이 넓어 농사일이 많은 마을이다. 하지만 물이 귀해 농사짓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그 어려움을 이기기 위해 만든 것이 용두레. 아랫논에서 윗논으로 물을 퍼 올리는 재래식 양수시설이다. 농사의 고단함을 달래준 것은 모두 함께 모여 일하며 부르던 농요 ‘용두레질 노래’. “어이야 용두레~ 물올라 간다.”하며 1년 농사짓는 과정을 노래로 부르는 선창자에게 화답하다보면 어느새 논에 물이차곤 했던 것. 마을을 찾은 사람들도 이 노래를 배워 부르며, 용두레질 체험을 해볼 수 있다. 경운기를 타고 마을 돌아보기, 갯벌체험하기 등 다양한 체험꺼리도 준비되어있다. 용두레마을 인근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5개의 고인돌군 중 하나인 오상리고인돌군과 고려 고종 19년 수도를 강화로 옮길 때 함께 옮겨온 하점면오층석탑(보물 제10호), 하점면석조여래입상(보물 제615호) 등이 있다. 화도면 여차리에 자리한 강화갯벌센터에도 들러볼 것.

인천광역시 강화군은 강화도, 석모도, 교동도, 볼음도, 주문도, 동검도, 서검도, 아차도, 말도 등 크고 작은 섬들이 모여 이루어진 행정구역이다. 그 중심엔 강화대교와 초지대교를 건너 쉽게 다가설 수 있는 강화도가 있다. 강화도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던 공간이다. 그 후로 몽고의 침략에 밀려 개성에서 강화로 왕도를 옮겨온 고려 왕족들과 그들을 따라 온 백성들이 이 섬으로 찾아들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양의 마지막 수비지역인 강화도의 지리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수많은 돈대들이 그를 증명하듯 해안을 따라 자리하고 있는 것. 그리고 그곳엔 여전히 섬을 지키는 사람들이 있다.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는 강화의 곡창지대이다. 들이 넓으니 농사일도 많았다. 하지만 너른 들녘 가운데로 작은 냇물 하나가 지날 뿐 물이 귀해 농사 짓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마을 사람들은 물이 귀한 이곳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 용두레로 냇물에서 가까운 논에 먼저 물을 대고, 그 논에서 윗논으로 물을 퍼 올리는 방법을 선택했다. 온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아 농사를 지은 것. 불과 3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이 마을 사람들은 용두레로 논에 물을 대어 농사를 지었다 한다.

마을사람들이 모두 모여 고단한 농사일을 즐겁게 할 수 있었던 것에는 대대로 전해져온 농요가 한몫을 했다. 마음을 모을 수 있는 노랫가락에 장단을 맞춰 물을 퍼 올리면 힘든 줄 몰랐다고. 양수기가 물을 퍼 올리기 시작하면서 함께 노래 부를 일이 없어져 자칫 잊을 뻔했던 ‘용두레질 노래’가 그것이다. 마을사람들은 이 노래가 사라지지 않도록 어린 시절부터 용두레노래 장단에 맞춰 물을 퍼 올렸던 어르신들로부터 노래를 채록하고 익혔다. 내친김에 1986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나가 대통령상까지 받았다. 전문 노래꾼이 아닌 마을사람이 이 노래로 인천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지금껏 마을의 젊은이들과 마을을 찾아온 사람들에게 이 노래를 가르치는 사람은 용두레질 노래로 인천무형문화재 지정된 최성원 씨이다. 최씨는 노래를 배우러 온 아이들에게 “다른 마을에도 용두레는 많아. 이곳의 용두레는 여러 층으로 나눠 일하는 거. 또 한꺼번에 많은 용두레로 작업하는 쌍 용두레라는 것이 특이한 거지”하며 황청리 용두레질의 특징을 알려준다. 노랫가락을 익히는 것만으로도 모찌기, 모심기, 두렁밝기, 김매기, 물푸기로 이어지는 1년 동안의 농사짓는 과정을 알 수 있다는 말도 잊지 않는다.

노래배우기는 손장단에 맞춰 시작된다. 양손으로 덩더쿵 장단을 맞추며 불러야 쉽기 때문. “어이야 용두레~ 물올라 간다”하고 선창하면 같은 가락으로 노래를 따라 부르며 배우는 것. 노래에 익숙해지면 꽹과리로 노래장단을 맞춰가며 용두레질 체험장으로 나선다. 체험장에는 지름 40cm, 길이 80cm 정도의 통나무를 길게 잘라 속을 파낸 후, 삼각형으로 세워 놓은 대에 매달아놓은 용두레 7대가 줄지어 있다. 손으로 용두레 손잡이를 잡고 물 속 바닥을 치듯이 밀어 올려주면 용두레 안에 물이 담겨 앞쪽 논두렁 안으로 물이 들어간다. 신기한 마음에 용두레를 잡고 선 아이들은 노래에 장단을 맞춰 용두레질에 나서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하소연이 이어진다.

끈에 매달려 있는 긴 나무두레박을 그저 밀고 당길 뿐인데 팔이 아프고 손아귀가 아프다는 것. 오랜 세월 용두레로 농사를 지어온 어른들의 수고스러움을 알게 되는 순간이다.

용두레체험이 끝난 후 경운기를 타고 마을 바닷가로 가면 강화의 돈대 중 유일하게 만들어진 연대를 알 수 있는 사각형 모양의 계룡돈대를 만날 수 있다. 돌로 쌓은 축대 아래에 ‘강희18년 군위어영 축조’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 것. 강희 18년인 1679년 경상도 군위의 어영군사들이 만든 돈대라는 뜻이다. 계룡돈대가 있는 곳은 들녘 위로 볼록 솟아오른 작은 언덕이다. 바다가 훤히 내려다보이는 이 언덕은 예전엔 작은 섬이었다고 한다. 인근의 작은 섬들 몇몇을 이어 둑을 막고 안쪽으로 들로 만들었다고.

돈대 아래 갯벌에서는 갯벌체험이 이루어진다. 물이 빠진 갯벌로 들어가 게들이 파놓은 구멍도 관찰하고, 그 안에 숨어있는 농게도 잡아보는 것. 한쪽 팔이 유난히 큰 농게를 잡은 아이들은 그저 신기하기만 하다. 이밖에도 용두레마을에서는 강화의 특산품인 속노란 고구마 심고 캐기, 벼농사 체험 등 다양한 농촌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체험료는 체험의 종류에 다라 달라지나 1일 기준 식사 포함 1인당 1만5000원~1만9000원 선이다. 숙박은 3인 기준 4만원. 식사는 1인 5000원이다.

용두레마을 인근에는 볼거리가 많다. 제일 먼저 들러볼 곳은 내가면 오상리의 오상리고인돌군이다. 이곳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5개의 고인돌군 중 하나로 총 11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다. 그중 가장 큰 고인돌인 내가지석묘(인천시 기념물 제16호)는 길이 3.7m, 넓이 3.35m, 두께 50cm나 되는 덮개돌이 올려져있다. 북방식고인돌의 형태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장소.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에 있는 하점면오층석탑(보물 제10호)과 하점면석조여래입상(보물 제615호)은 고려시대의 유물들이다. 봉은사지오층석탑으로도 불리는 탑은 고려 고종 19년인 1232년, 수도를 강화로 옮겨올 때 함께 옮겨진 것이라 한다. 3층 이상의 몸돌과 5층의 지붕돌, 상륜부가 유실되었다. 높이 2.8m의 마애불로 11세기에 만들어 졌을 것으로 보이는 하점면석조여래입상도 봉은사지와 관련이 있는 유물로 추정된다.

화도면 여차리에 자리한 강화갯벌센터는 세계 4대 갯벌중 하나인 강화도 남단 갯벌(천연기념물 제419호) 가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지구상에 1500마리 정도 남은 멸종위기보호종인 저어새의 번식지이다. 저어새 300마리 정도가 서식하며 알을 부화하고 새끼를 키우는 장소인 것. 전시실, 실험실, 도서 인터넷 자료실 등으로 구성된 전시장 안에서 저어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공부할 수 있다. 6월말까지 2층 특별전시실에서 두 번째 기획전인 <그런데요! 저어새가 뭐예요?>가 전시된다.

갯벌센터에서 그리 멀지않은 화도면 사기리에 강화남단의 드넓은 갯벌을 관망할 수 있는 장소가 있다.

동박해수욕장과 맞닿아있는 분오리돈대이다. 조선 숙종 5년인 1676년에 한양으로 이어지는 뱃길을 보호 감시하고 강화 최남단을 방어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삼면이 절벽인 곳에 자리하고 있다. 강화 일몰 감상 포인트이기도 하다.

문의전화 용두레마을
010)5447-2130,
강화군청 문화관광과
032)930-3520

[최은남 기자] cen@dailypot.co.kr
사진·자료제공:한국관광공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