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는 정치인’ 유시민 노무현식 창당 추진 내막


정치권에서 유시민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아주 닮은 사람으로 통한다. 무소속인 그는 그래서 ‘튀는 정치인’ 대열에 꼽히기도 한다.

승부욕, 뛰어난 말솜씨, 대중을 끌어들이는 힘까지 너무나도 비슷하다. 그는 4월 9일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지역구(고양시 덕양구 갑지역)을 버렸다. 대신 자신의 고향인 대구시 수성구 을지역을 택했다. 그곳은 한나라당 텃밭으로 과감한 도전이다. 이점도 노 전 대통령의 정치궤적과 닮았다. 그런 그가 지난해 초부터 벼르는 게 있다. 신당창당이다. ‘진보개혁정당’을 부르짖으며 새 당 만들기에 시동을 건 것이다. 이에 정가 사람들은 부정적이다. 국민적 지지와 관심이 먼 신당창당은 아직 이르다는 시각이다. 그럼에도 유 의원은 ‘신당창당 프로젝트’를 가동, 준비에 들어갔다.

유시민 의원의 ‘무소속연합’은 물 건너간 것일까. 그의 움직임으로 볼 때 전혀 아니다. ‘무소속 연합설’은 그가 대통합민주신당(약칭 통합민주당)을 떠날 때 흘러나온 얘기다. 그가 신당창당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것도 그런 흐름이다. 그는 최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아직 구체적 단계를 밝힐 수 없지만 차근차근 일이 이뤄질 것이다”고 밝혔다.

유 의원의 신당 만들기는 ‘친노’파 그룹의 헤쳐모여 식 수순을 밟아 이뤄질 예정이다. ‘노의 사람들’이 각계전투를 하다가 창당 때 다시 모인다는 것. 당은 ‘노무현 프레임(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노의 남자들’ 중심으로 ‘노무현 브랜드’ 정당을 만든다는 얘기다. 창당의 주연은 유 의원이 맡고 있다.

통합민주당 관계자는 “유 의원은 지난해 초부터 진보개혁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말을 자주 했다”면서 “시나브로 신당 만들기 준비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그가 노리는 것은 ‘개혁’과 ‘통합’이란 두 마리 토끼 잡기다.


총선 후 4월말 ‘힘’ 규합

유의원의 신당창당 프로젝트 뼈대는 ‘사람-돈-정책’이다. 이의 하모니를 이루기 위해 인력풀을 가동 중이다. 사람과 정책은 노무현 대통령 시절 같이 뛰었던 사람들이 동원될 확률이 높다. 그는 최근 노 전 대통령이 지목한 ‘노무현 사람’임이 다시금 입증됐다. 노 전 대통령은 지난 2월 25일 오후 고향 김해 봉하마을 환영행사 때 그를 단상에 오르게 한 뒤 “내가 보기에 노무현과에 속하는 사람이 있다. 내가 어려울 때 나를 지켜줬다”며 주민들과 지지자들 앞에서 추켜세웠다.

유의원은 노 전 대통령의 몸짓, 연설방식, 승부근성까지도 빼닮아 ‘제2의 노무현’이란 소리를 듣는다. 이런 까닭에 그는 당에서 버림(?) 받다시피 한 존재로 부각됐다. 그럼에도 노 전 대통령을 향해 과감 없는 ‘쓴 소리’를 한 사람도 바로 그다. 이 점 역시 튀는 면이다.

유 의원과 창당에 들어갈 ‘노 사람들’은 누구일까. 대부분 올봄 총선에 나가는 ‘참여정부 청와대맨’들이다.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에 출마한 김만수 전 청와대 대변인을 비롯해 다수다. 김 전 대변인은 ‘참여정부평가포럼’(약칭 참평포럼)에서 노 전 대통령의 치적을 홍보한 대표적 사람이다. 또 △윤승용 전 청와대 홍보수석(전북 익산시 을지역) △박남춘 전 청와대 인사수석(인천시 중·동구·옹진군) △전해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안산시 상록구 갑지역) △전재수 전 청와대 제2부속실장(부산시 북·강서구 갑) △정태호 전 청와대 대변인(서울시 관악구 을지역) 등도 가세한다. 이들은 총선 출마 뒤 유 의원과 창당 작업에 호흡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유의원 도전과 야망엔 걸림돌이 적잖다. 먼저 사람이다. 입에 맞는 인물이 없다는 소리다. 유 의원은 최근 “물밖에 있는 물고기 같다”고 했다. 답답한 심정을 드러낸 것이다. 이에 따라 그는 또 지방선거 때까진 힘 있는 조직과 인재들을 갖추고 모으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신당창당 시기도 복병이다. ‘작전타임’ 중으로 일정이 빠듯한 실정이다.

통합민주당 관계자는 “유 의원은 ‘친노’파 세력을 이번 총선 때 뭉치게 할 것이다”면서 “노무현식 신당 만들기 준비가 총선 뒤 드러날 것이다”고 귀띔했다. ‘노의 사람’들이 제각기 흩어진 것처럼 보이지만 4월 말께부터는 다시 힘을 모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