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8일 인도 뉴델리의 여성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뉴시스]
지난달 8일 인도 뉴델리의 여성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줄을 서 있는 모습 [뉴시스]

[일요서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의 여파가 여성 인권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성관계, 임신 등과 관련된 여성의 자기 결정권이 수십 년 전 수준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CNN에 따르면 나탈리아 카넴 유엔인구기금(UNPF) 사무국장은 17일(현지시간) 유엔재단이 주최한 화상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는 여성 인권을 상승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카넴 사무국장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UNPF의 가족계획 프로그램이 중단된다면 개발도상국 여성 4700만 명이 피임약을 구할 수 없게 된다”며 “그 결과 의도하지 않는 700만 건의 임신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증가하는 가정 폭력도 문제다.

UNPF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6개월 동안 여성과 여아를 상대로 한 폭행 사건은 3100만 건에 달한다. 여성을 위한 대피소들도 코로나19로 문을 닫으며 피할 곳조차 없어졌다.

카넴 사무국장은 “일부 국가의 경우 여성 및 여아 살해 비율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UNFP는 젠더에 기반한 폭력 사태는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 속 더 큰 위기라고 보고 있다”며 “여러 국가에서 우리의 예측이 현실이 된 데에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한 실직 역시 여성에 집중됐다.

카넴 사무국장은 “여성은 늘 사회 위기의 최전선에 있기 때문에 코로나19 위기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며 “우리가 감사를 표한 (코로나19의) 영웅인 보건·복지 인력의 70%는 여성이다”고 했다.

그는 “여성은 직장을 잃을 가능성이 높고 사회보장의 혜택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전염병은 빙산의 일각으로만 보이던 매우 심각하고 체계적인 불평등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뉴시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