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측은 원인은 바이오매스에 주어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제공=기후솔루션]
기후솔루션측은 국립산림과학원의 보도자료에 대한 정면 반박에 나서며 “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 에너지원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제공=기후솔루션]

[일요서울 | 양호연 기자]최근 산림과 관련된 벌목, 바이오매스 활용으로 뜨거운 논쟁이 이뤄지고 있는 모양새다. 사단법인 기후솔루션이 산림청 산하 국립산림과학원(이하 산림과학원)의 바이오매스 관련 발표에 대해 정면 반박에 나섰기 때문이다.

산림과학원은 지난 7일 미이용 바이오매스에 관한 보도자료를 배포한 바 있는데, 해당 자료에는 바이오매스가 탄소중립 에너지원이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기후솔루션 측이 산림 바이오매스 에너지 정책 보조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이 외에도 최근 논란이 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서 산림청의 바이오매스 활용의 문제점을 강조하고 정책적 해결을 촉구했다.

기후솔루션 측은 일요서울에 산림과학원은 바이오매스가 탄소중립 에너지원이며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후솔루션 측에 따르면 나무를 태우는 것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측면에서 석탄을 태우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대체 조림을 통한 탄소중립에는 수십 년에서 백 년까지 걸린다. 
 

국내 바이오매스 생산량 [자료=기후솔루션,  산림청 목재수급실적 2016-2020]
국내 바이오매스 생산량 [자료=기후솔루션, 산림청 목재수급실적 2016-2020]

또한 산림과학원은 IPCC 산정법에 따라 바이오매스 연소시 배출량을 토지이용부문에서 산정하고 에너지부문에서 생략함으로써 목재펠릿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런 산정법은 국가간 온실가스 장부에 올리기 위한 일종의 회계규칙일 뿐이며, 실질적인 탄소중립과는 거리가 멀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그러면서 바이오매스 활용은 오히려 산림 벌채, 산림생태계 황폐화 생물종 다양성 소실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2019년 발간된 기후변화와 토지에 대한 IPCC 특별보고서는 명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후솔루션 관계자는 “사실 온실가스를 어느 부문에서 산정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며 “지금 국민이 알아야 할 내용은 우리나라 산림 및 재생에너지 정책이 산림 벌채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후변화가 오히려 가속화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 측은 해결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들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는 것. 그러면서 산업통상자원부는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모든 전소, 혼소 바이오매스 발전소에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를 하향 조정하거나 전면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가중치가 줄어들면 임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대안이 모색되고, 탄소를 더 고정할 수 있도록 새로운 물질 자원을 개발하는 방안들도 연구되고 도입될 것”이라며 “아울러 산림청과 산림과학원은 지금 당장 바이오매스를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홍보하면서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