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육성 본격 나선다

- 연구기획TF팀 구성…SKT·NHN·조선대·광주TP 등 참여

- 인공지능·3D융합·IoT산업 등 특화된 광주형 전략 마련

광주광역시청사
광주광역시청사

[일요서울ㅣ광주 김태수 기자] 광주광역시가 메타버스 융합신사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

메타버스(Metaverse)는 현실·가상이 결합된 ‘초월(meta) 세계(verse)’를 의미하며, 5G와 가상기술(AR, VR)을 토대로 여가생활과 경제활동을 하는 가상융합공간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는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2.0(디지털 뉴딜 2.0)의 핵심 산업 중 하나로 앞으로 디지털 융·복합 가속화에 대응해 집중 발굴·육성하게 된다.

이에 광주시는 정부 정책과 연계하고 그동안 추진해 온 인공지능 산업을 기반으로 ‘메타버스 산업’을 육성해 시너지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먼저 지난 23일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기획 TF팀을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다.

연구기획 TF팀에는 SKT, NHN, CJ올리브네트웍스, 버넥트, 유오케이, 조선대, 한국전자기술연구원,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호남권 연구센터), 광주TP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국판 뉴딜 2.0 대표과제 중 하나인 ‘디지털 초혁신 프로젝트’에 대응해 가상융합 시대를 선도하고 인공지능산업과 연계한 차별화된 메타버스 산업 육성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더불어 전문가들은 현황과 향후 기술전망에 따른 육성방향, 민관 협업 방안 등 디지털 뉴딜 2.0과 연계한 광주시 메타버스 육성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한 기획위원은 “광주시가 인공지능에 기반을 두고 메타버스를 이용한 스마트 시범도시를 준비하고 있다”며 “재난, 교통관련 스마트시티 플랫폼 안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해 AI기반의 시스템 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현황을 공유했다.

또 다른 위원은 “광주에서 메타버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광주만의 사업아이템을 만들고 다듬어야 한다”며 “광주지역의 e-스포츠경기장, 인공지능센터, 문화컨텐츠 등 인프라를 잘 활용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광주시는 TF팀 회의를 정례화하고 내실 있는 연구기획을 통해 산업 전반으로 디지털 전환을 확산하는 동시에 인공지능, 3D융합, IoT산업 등이 특화된 메타버스를 광주형 AI메타버스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손경종 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온라인, 비대면 수요가 급격하게 확대되면서 전 분야의 디지털화가 가속되고 있다”며 “광주시가 인공지능산업뿐 아니라 메타버스 등 초연결 신산업 분야에서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 ‘하수시설 개선’…악취 줄이고 운영비 절감한다

- 제1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 사업으로 연간 37억원 운영비 절감

- 시설 개선사업 추진…농축조 악취배출농도 94% 저감 성과

- 제2하수처리장 2025년까지 에너지자립화…시설 개선 하반기 완료

 

광주광역시,  제1하수처리장 전경사진
광주광역시, 제1하수처리장 전경사진

광주광역시는 하수처리시설을 개선하고 현대화하는 에너지자립화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운영비용은 절감하고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잡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에너지자립사업은 하수 처리 중 발생하는 찌꺼기를 분해하고 감량하기 위한 소화처리 시설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증산해 하수찌꺼기를 건조하는데 필요한 도시가스 연료 대신 사용하는 사업으로 하수처리장 운영비를 낮추고 온실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서구 치평동에 위치한 제1하수처리장은 지난 2018년 사업비 197억원을 투입해 에너지자립화사업을 완료했으며, 일일 1만7000㎥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일일 3만2000㎥로 증산해 하수슬러지 건조처리시설 연료 등으로 사용하게 돼 연간 37억원에 해당하는 운영비를 절감하게 됐다.

광산구 본덕동에 위치한 제2하수처리장은 오는 2025년까지 사업비 394억원을 투입해 에너지자립화사업을 완료할 계획으로, 현재 일일 3000㎥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1만6000㎥까지 높일 계획이다. 연간 운영비는 34억원을 절감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시는 하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악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1하수처리장에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100억원을 투입, 악취발생이 가장 많은 시설물인 침사지, 농축조 등을 밀폐포집해 약액세정 처리하는 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농축조 악취배출농도를 평균 2540배(희석배수)에서 165배로 94% 저감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제2하수처리장도 지난 2019년부터 48억원을 투입해 침사지 농축조 등 악취가 다량 발생하는 시설을 밀폐하는 방식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장우현 시 하수관리과장은 “하수처리시설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깨끗하고 쾌적한 광주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