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옥선 6·25 참전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 “치열한 전투서 피 흘리는 부상병들 손수 살려”

전장에 뛰어든 간호장교 박옥선 6·25 참전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
전장에 뛰어든 간호장교 박옥선 6·25 참전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

[일요서울ㅣ김혜진 기자] 지금으로부터 70여 년 전인 1950년 10월1일은 국군이 남침한 공산군을 반격해 38선을 돌파한 날로서 의의를 삼기 위해 ‘국군의 날’이 처음 지정된 날이다. 당시 간호장교로 전쟁에 참여한 6·25 참전유공자회 종로구지회장 박옥선 할머니(90)는 “중위로 있을 때까지도 10월1일에는 늘 큰 잔치가 있었다”며 “지금의 마포대교가 있는 곳이 모래밭이었는데 뜨거운 모래 위에서 군화를 신고 군복을 입고 한 달 넘도록 사열대를 만들어 연습했던 기억이 생생하다”고 했다. 박 할머니는 “사열 진행은 말도 못하게 힘들었지만 스스로 사기 진작도 되고 나라를 지키고자하는 열망이 가득했던 때”라고 회상했다. 열여덟 어린 나이에 전쟁터에 나가 다친 병사들을 돌봐 온 그는 현재 구순의 나이에도 나라를 지켰던 이들을 돌보는 데 소홀하지 않다. 이렇게까지 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일요서울은 지난 23일 서울 종로구 보훈회관에서 박 할머니를 만나 그의 삶을 들어봤다. 

- 열여덟 간호사관학교 입학… “고된 훈련받아 부상병 치료할 수 있었다”
- “전쟁 다시 일어나도 주저 없이 전쟁터로 향할 마음은 여전”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해 낙동강 인근까지 피란을 갔던 박옥선 할머니와 그의 가족들은 유엔군이 9월28일 서울을 되찾으며 서울 집으로 돌아오게 됐다. 공부에 대한 욕심이 컸던 박 할머니는 정부가 세운 임시 학교에 다니면서 외교관을 꿈꾸기도 했다. 그는 “당시 부잣집에서도 딸은 공부를 시키는 분위기가 아니었지만 우리 아버지는 내가 하고 싶은 만큼 공부를 시켜 주셔서 열심히 할 수 있었다”며 “공부하라는 소리 대신 어떤 책이 필요할지 미리 살펴보시고 책을 마련해 주셨다. 뒤에서 묵묵히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신 분”이라고 자랑했다. 

박 할머니는 그런 아버지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게 인생에서 가장 큰 후회라고 했다. 그는 “간호장교들이 직접 학교에 와 전쟁터에서 죽어가는 생명을 구하는 것을 도와달라는 간곡한 요청을 들었다. 거기서 열심히 하면 해외에도 갈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열여덟 살 어린 나이에 국군간호사관학교에 자원했다”며 “부모님께는 부산 훈련소에 가는 당일 날 1년만 다녀오겠다고 이야기를 했는데 아버지가 서울역까지 따라 나오시며 그렇게 슬퍼하셨다”고 말했다. 

박 할머니는 1년 후 어렵게 면회를 온 아버지의 얼굴을 대면하고서도 살갑게 대하지 못한 자신의 행동을 탓했다. 그는 “아버지가 부산까지 오실 거라고 생각도 못해서 너무 놀라 처음엔 얼굴만 쳐다보고 있었다”며 “인사 안 하느냐는 교장선생님의 말에 무덤덤하게 ‘아버지 오셨어요’라고 첫마디를 꺼냈다. 올라가기 전까지도 친근하게 하지 못했는데 아버지가 얼마나 섭섭했을까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자에게도 “아버지는 항상 외로운 사람이니 같이 소주라도 한잔 하고, 계실 때 잘 해드려야 한다”고 신신당부했다. 

서울에 계신 부모님을 뒤로 하고 간호사관학교 2기생으로 입학한 그는 123명의 동기들과 함께 부산에서 기초 교육 및 훈련을 받고 전장에 나가게 됐다. 박 할머니는 “훈련을 받을 때 주머니에 머리 하나가 들어갈 만큼 큰 남자 군복밖에 없어 소매를 걷어 올리고 군화를 질질 끌면서도 부산에서 마산까지 구보를 하는 등의 고된 훈련을 해야 했다”며 “그런 정신으로 훈련을 받았기에 전투 현장에서 부상당한 군인들을 직접 안고 내려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제주·대구·부산·철원 등 전국 국군 병원을 돌며 근무한 그는 병원에 실려 오는 환자들의 상태를 보면 당시 전투 현장이 얼마나 치열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고 했다. 1953년 7월27일 정전협정을 앞두고선 전투가 더 치열해지면서 위급한 상태의 환자 수는 최고조에 달했다. 박 할머니는 “병원에 실려 와 죽는 환자들, 팔과 다리가 떨어진 채 실려 온 환자들이 많았다”며 “의료품도 다 떨어져 갈 때라 위급해도 그냥 운동장에 환자를 늘어놓는 일이 부지기수였다”고 했다. 

고지가 평지가 될 때까지 전투가 벌어졌던 백마고지나 철원고지에서도 특히 중상자들이 많았다. 그중에서도 박 할머니는 “대구 병원에서 근무할 때 총알이 턱 아래로 들어가서 반대쪽 볼 위쪽으로 나와 얼굴 반쪽이 함몰된 ‘박종은’이라는 환자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며 “자살기도를 할 만큼 힘들어 하셨는데 1년 동안 성심성의껏 치료를 해서 낫게 했더니 마음이 뿌듯했다”고 말했다. 그는 “아버지에게도 소개해 줄 만큼 친한 친구였는데 2014년 한 차례 만남 후 지금까지 못 만나고 있다”고 했다.

박 할머니는 최근 추석을 맞아 이랜드재단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에 모델로 참여했다. 참여 당시 찍은 사진을 든 모습
박 할머니는 최근 추석을 맞아 이랜드재단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에 모델로 참여했다. 참여 당시 찍은 사진을 든 모습

제대 이후 2009년부터 유공자들 살뜰히 보살펴

박 할머니는 휴전 후에도 중앙보훈병원(당시 국립원호병원)에서 간호과장으로 일하며 월남전에서 다쳐 돌아온 군인들을 돌봤다. 그는 “6·25 전쟁 당시보다 환자들의 상태가 더 심각했다”며 “그때는 총뿐만 아니라 지뢰도 있었기 때문에 군인들의 부상 피해가 더 컸다”고 설명했다. 

수많은 병사들을 돌본 뒤 군대를 전역하고 난 이후인 2009년부터 현재까지 6·25 참전유공자회 종로구지회에서 지회장으로 일하며 참전 용사들을 돌보고 있는 그는 “지금도 전쟁이 일어난다고 하면 주저 없이 전쟁터에 나갈 각오가 돼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 같은 마음가짐으로 당초 900여 명 가까이 됐던 유공자들을 돌봐 온 그는 현재 남은 261명의 유공자를 살뜰히 살피고 있다. 이번 추석도 바쁘게 보냈다는 박 할머니는 “최소 90세 이상이신 분들이기 때문에 집에도 자주 가 보고 점검을 해야 한다”며 “일일이 병실을 찾아다니기도 하고 밥을 어떻게 해 드시는지, 불은 떼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느라 정신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쟁 때 고생을 했다고 나라에서 1000만 원의 예산을 주지만 1년에 네 번의 행사를 치르고 살림을 꾸려나가기에는 부족함이 있어 부지런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다”며 “최근 추석을 맞아 이랜드재단에서 진행하는 캠페인에 모델로 참여해 기부금과 지원 물품을 얻어 나눠  드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학생들이 박옥선 할머니에게 남긴 편지
학생들이 박옥선 할머니에게 남긴 편지

끝으로 박 할머니는 “최근 간호사관학교에 방문해 보니 남학생들이 8명 있었다”며 “남학생이 지원을 많이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하기도 했다. 그는 “남학생들이 할 일이 많다”며 “예를 들면 중환자실의 경우 대소변을 다 받아내야 할 때도 있는데 여학생들이 하기는 정말 쉽지 않다. 환자는 환자일 뿐이기에 당연히 해야 하지만 남학생들이 있으면 좀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