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일 앞으로 다가온 3.9 대선을 가를 변수는 많다. 당장 tv토론부터 설화, 부동산, k방역, 각종 네거티브 등 한 두가지가 아니다. 그러나 필자가 볼 때는 역시 야권단일화가 오는 3.9대선에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일단 윤석열과 안철수 두 후보는 단일화 관련 일정한 선을 긋고 있다. 하지만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들 대다수가 단일화를 원하고 있고 야권에서 확실한 승리를 위해선 단일화만한 카드는 없다는 게 양 캠프 참모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그렇다고 자리.공천권을 두고 나눠먹기식 단일화는 역풍이 불 수 밖에 없다. 과거 DJP 연대는 예외였다. 그 당시는 호남과 충청간 지역적 연대와 내각제를 고리로 한 총리직과 자리를 서면으로 합의했다. 전형적인 구태정치이자 야합이었지만 DJ는 대통령직에 올랐다. 사실 의원내각제는 개헌사안으로 국민적 투표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으로 대선 후보간 약속할 사안이 아니였다.

안철수 후보 역시 DJP식 연대는 자신이 정치입문하면서 내세운 지금은 낡은 구호가 됐지만 새정치와 거리가 멀다. 현실적으로도 안철수식 정치도 아니다. 그렇다면 안철수 후보가 공식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국민의당 가치와 정책 그리고 중도정당. 중도정부로써 외연확장을 할 수 있는 정강.정책까지 포함된 내용을 담은 합의서를 야권 단일화 조건으로 제시할 공산이 높다.

또한 본인의 대표 공약도 포함시킬 공산이 높다. 정치분야에서는 임기중 중간평가제 도입을 천명했다. 또한 대통령 권한 및 청와대 이전 및 축소, 책임총리제 도입 등을 천명했다. 또한 경제분야에는 과학기술부 부총리급 승격을 통해 G5에 진입하겠다고 미래비전을 담았다. 사회분야에서는 국민연금 개혁을 내세웠다.

윤석열 후보로서도 정권연장보다 정권교체를 바라는 만큼 안철수 후보의 단일화 조건을 반대하기는 어렵다. 권력분점을 원하는 것이 아닌 가치와 정책으로 연합정권을 만들자는 데 토를 달 윤핵관도 없을 전망이다.

관건은 지지율이다. 야권 단일화가 무르익기위해선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두 자릿수를 유지해야 한다. 3강 체제로 된다면 안 후보는 당당히 위 조건을 내세워 단일화를 선제적으로 제안할 공산이 높다.

그러나 안 후보의 지지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진다면 야권 단일화는 물 건너 갈 공산이 높다. 국민의당도 당이다. 대선과 동시에 치러지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가 5군데에서 치러진다. 그런데 사실상 당 대 당 통합이 아닌 흡수통합식 단일화는 본인도 당도 존재감이 사라질 것이 뻔하다. 윤 후보가 아무리 당근책을 제시하고 안 후보가 응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

특히 6.1 지방선거가 5.9 대통령 취임식이후 있다. 공당으로서 지방선거에 출마할 후보들이 즐비한데 백기투항식 단일화를 반길 당내 인사는 없다. 결국 안철수 후보가 설이후까지 두 자릿수를 유지한다면 후보등록일인 215일 이전이라도 단일화를 먼저 요구할 수 있다. 단일화 공을 윤석열 후보에게 떠넘기는 셈이다. 2012년 새정치를 내세워 안철수 바람을 일으켰지만 결국 문재인 후보의 단일화 제안으로 기세가 꺾인 경험이 좋은 보약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