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속발성 따라 선택적 치료법 접근해야⋯

가임기 여성에게 누구나 한 달에 한 번 찾아오는 월경은 사춘기 이후 초경을 하면서부터 폐경을 하기 전까지 계속된다. 하지만, 월경은 임신하는 기간 외에는 한 달에 한 번씩 수십 년을 겪어도 결코 익숙해지지 않은 일이다. 심지어 가임기 성인 여성 중 60% 이상이 월경통까지 수반한다. 월경통 증상이 심할 때는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학교나 직장에 나가는 것 조차 힘든 경우도 많다. 

월경통은 골반 내에 특별한 이상 징후가 없이 월경시에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증상을 일컫는다. 또는 월경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월경통도 있다. 

이번호에서는 월경통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보고, 원인에 따른 치료법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다.

월경통은 크게 원발성 월경통과 속발성 월경통으로 나뉜다. 원발성 월경통은 기저질환 없이 월경 기간 동안 자궁내막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이 과다 분비되어 자궁의 수축력과 압력을 증가시켜 생식기 주변의 말초신경이 과자극되어 발생한다. 초경이 시작되고 1~2년 이내 시작되어 젊은 여성이 흔하게 겪는다. 보통 통증은 월경 시작 몇 시간 전부터 시작해서 48~72시간 정도 월경통이 지속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월경통이 심한 경우 하복부 통증은 물론 허리 통증 또는 허벅지 앞으로 퍼지는 통증, 구역, 구토, 어지러움까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마다 차이가 크다. 월경통이 전혀 없는 사람도 있으며 월경통이 매우 심해지기 시작해 복합적인 증상으로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원발성 월경통의 경우에는 복부 마사지 및 온열 찜질 치료 등의 대증적 요법이 효과가 있으며, 일차적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가 치료에 쓰인다.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가 월경통의 원인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하므로 증상에 따라 월경이 시작되기 1~3일 전부터 복용을 시작하며 이후 며칠간 지속 복용하도록 한다. 보통 4~6개월 정도의 약물 치료를 지속한 후 용량을 조절하거나, 효과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호르몬을 이용한 치료가 동반된다. 

특히 피임이 필요한 여성의 경우에는 경구피임약이나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분비되는 자궁 내 피임 장치를 시도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이는 자궁내막을 월경주기의 초기 상태로 유지 시켜 프로스타글란딘의 농도를 낮추게 하므로 월경통이 감소하게 된다.

속발성 월경통은 생식계통의 기저질환으로 인한 월경통을 이야기한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염, 골반염 등이 있다. 원발성 월경통보다 발생 연령이 높은 편이며 월경 시작 1~2주 전부터 통증이 발생하여 생리가 끝나고도 수일 더 지속되는 경우가 흔하다. 진통 소염제나 호르몬 약에 대한 효과가 적은 편이며 초음파검사, 진단적 복강경검사, 자궁경 검사, 혈액검사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속발성 월경통의 경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그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속발성 월경통은 질환에 의해 발생하고 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사와 진단이 필요하다.

원발성 월경통의 경우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건강하게 바꾸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으로도 통증 완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매달 몸이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고 월경통을 방치하는 경우 자궁과 난소에 생긴 문제를 모르고 질환을 악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자궁내막증이나 자궁내막염 등의 진단 및 치료가 늦어진 경우에는 난임과 같은 더 큰 합병증이 생기게 된다. 난소낭종 또는 자궁근종의 경우에는 크기가 작은 경우 경과를 지켜봐도 괜찮지만, 크기가 큰 경우에는 수술을 통한 치료를 해야 할 수 있다. 개복수술이 주를 이룰때는 환자가 부담을 느꼈지만, 현재에는 복강경 수술로 흉터도 작게 남을 수 있다. 

또한 자궁근종의 크기가 크거나 다발성 자궁근종의 경우 자궁을 완전히 제거했지만, 현재는 자궁을 보존하고 근종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이 가능하다.

월경통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이거나 진통제 복용으로도 월경통이 나아지지 않고 진통제의 복용량을 점차 늘린다면 속발성 월경통을 의심할 수 있다. 

월경통으로 인해 일상생활까지 힘들어지면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다. 심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참지 말고 산부인과를 내원하여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를 받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