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실효성 있는 학자금 부담 완화 정책 시급”

[일요서울] "대학 졸업 후 회사에 취직했지만, 학자금 갚기는 쉽지 않습니다." - 대학을 갓 졸업 후 사회생활을 시작한 사회초년생 A씨의 하소연이다.  

A씨 처럼 학자금 대출을 받고서 취업을 한 이후에도 대출금을 제대로 상환하지 못하는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체납’이 매년 늘고 있어 논란이 될 전망이다.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서대문을)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와 국세통계 포털에 공개된 2022년도 1분기 국세통계를 보면, 지난해 기준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의 체납건수는 3만 9345건, 체납액은 481억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2017년 갚지 못한 학자금은 1만 2935건, 145억 원이었지만, 해마다 빠르게 증가해 4년 만에 3배가량 폭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만 1372건, 125억 원으로 체납 건수가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1만 555건, 133억 원으로 체납 금액이 가장 많았다.

또한, 대학 졸업 후 3년이 지날 때까지 상환내용이 없거나 상환이 개시된 후 3년까지의 상환액이 대출 원리금의 5% 미만인 장기 미상환 자는 1만 7996명으로, 2020년 2만 5090명인 것에 비하면 감소했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학생들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제공 :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
[제공 :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

김영호 의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최근 고금리, 고물가로 녹록지 않은 경제 상황이 지속하면서, 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체납이 늘고, 신용 유의 자로 등록되는 등 학자금 대출 리스크가 눈덩이처럼 커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장학재단의 자료에 따르면,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과는 별개로 일반상환학자금대출을 6개월 이상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사람은 2022년 7월 기준 1만10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청년들이 사회로의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빚더미를 안고 신용불량자가 되는 셈이다.

김 의원은 “학자금 대출 때문에 우리 청년들이 사회생활의 출발선에서부터 뒤처지는 일이 없도록 더욱 세심한 학자금 부담 완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