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대 의결기구와 구성원들 생각은 서로 달라 
초등교사 양성 시스템 많은 숙고 거쳐야 

부산교대와 부산대의 통합, 무엇이 문제인가?(사진제공=부산교대총동창회)
부산교대와 부산대의 통합, 무엇이 문제인가?(사진제공=부산교대총동창회)

[일요서울ㅣ부산 최은아 기자] 지난 5월 17일 부산교대가 부산대와의 통합을 전제로 한 글로컬 대학에 예비지정되었다. 4월 17일 부산교육대가 부산대의 제안을 받은 후 딱 26일 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오랫동안 교대와의 통합을 시도해왔던 부산대학교는 부산교대의 이 같은 결정 선언에는 ‘글로컬 대학 30’ 예비지정에 기인한다며 발을 빼는 모습이다. 

글로컬 대학 사업은 글로벌(globalㆍ세계적)과 로컬(localㆍ지역적)의 합성어로 교육부에서 추진하는 비수도권 지방대 육성을 위한 정책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의 학생 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가 2026년까지 글로컬 대학 30곳을 지정하면서 불이 지펴지기 시작했다. 여기에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대학은 향후 5년간 최대 1000억 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되자, 부산대와 부산교대도 통폐합 및 융합을 전제로 글로컬 대학 예비지정에 공동 신청했고, 부산교대 의결기구는 통합을 반대하는 학생대표들이 불참한 가운데 학내 구성원 단위별 대표와 교수회의 최종 결정을 통해 통합을 의결했다.

이러한 부산교대 의결기구의 발표에 부산교대 총동창회 측은 “이번 통합 결정은 통합을 반대하는 98%의 학생과 동문을 도외시하는 일방적 결정“이라며 ”양 대학의 통합 결정을 즉각 철회하라“라며 강경한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이렇듯 양 대학의 통합이 결정되었다고 하지만, 통합 문제가 학생들과 동문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치면서 양 대학의 통합은 아무런 진척 없이 포류하고 있는 모양새다.

난항을 겪고 있는 양 대학의 통합은 과연 이루어질 것인가?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무엇이 잘못된 결정인지, 부산교대 총동창회 김선율 회장과 비상대책위원장 박종필 위원장과 함께 하나씩 짚어본다.  (편집자 주)        

 Q. 먼저 인터뷰에 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부산대와 부산교대의 통합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어떻게 보시는지요?

- 우선 전체적인 맥락을 짚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108개의 대학이 94팀으로 지원했습니다. 그중에서 교육대학교는 전국의 10개 교대 중에서 유일하게 부산교대만 들어가 있고요. 문제는 글로컬 대학에 지원 신청한 108개 대학 중 이처럼 구성원이 반대하는 경우가 없다는 겁니다. 구성원이 전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상황 또한, 부산교대가 유일합니다. 부산교대 교수회, 대학평의원회에서는 안건이 통과된 것으로 진행하고 있지만, 학생들 대다수는 여전히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죠. 
학생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초등교사 양성이라는 중대한 일을 학생을 무시하고 교수들이 마음대로 결정하고 추진하는 건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겁니다. 

Q. 학생과 동문의 입장을 좀 더 자세히 들을 수 있을까요?

- 학생들의 입장은 이렇습니다. 훌륭한 교원이 되고자 부산교대에 입학했고, 그에 맞는 전문교육을 받고자 하였지, 종합대학에서 교원 교육을 받을 것이라고는 생각지도 못한 일입니다. 이는 설사 종합대학에서 전문교육을 받는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종합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원 교육은 학생들이 처음 꿈꾸고 목표로 했던 교사와는 많은 차이를 보일 것입니다.
실제로 초등교육은 초등교육만의 특성이나 특수성이 있어요. 소아과 병원이나 성인병 전문의사가 따로 있듯이 말입니다. 이런 초등교육만의 특수성 때문에 교대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초등학생은 중고등학생과 다른 인지적 정의적 특성이 있고, 초등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배우고 익혀서 초등교사가 되고자 교대에 왔는데, 교대를 두고 종합대학에 들어간다고 하니 이해하기 힘들다는 겁니다. 마치 부산대학이 교대보다 우위에 있는 것처럼요. 실제로 부산대학을 가지 못해 교대를 온 학생들이 아닙니다. 부산대 어느 과라도 갈 수 있는 지성을 가진 학생들입니다.

-동문들 입장에서는 자칫 잘못하면 이 상황이 개인이나 이기주의로 비칠까 경계를 하고 있습니다. 단지 모교가 없어진다는 뜻이 아니에요. 교대를 종합대학 테두리 안에 끼워 넣는다는 것은 초등교사 양성 시스템 자체를 바꾸겠다는 것입니다. 이는 대학 경영 혁신이라는 문제를 떠나 초등교사 양성 시스템을 바꾸는 국가적인 문제입니다.  양 대학이 통폐합을 실시한다면 대한민국 교육대 전체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부산교대가 부산대학교로 통합이 되면 다른 교대들도 그 지역 중심의 종합대학으로 차례차례 내키지 않는 통합을 진행하게 될 겁니다. 이러한 상황이 확산된다면 초등교육은 허물어지는 것이지요.
무엇보다 이 통합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살펴야 되는데, 현재 보이는 양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대학끼리의 통합은, 특히 종합대와 교육대와의 통합은 심도 있는 고심 끝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올바른 후학을 가르쳐야 하는 교육대학의 통합은 더더욱 그렇다고 봐야 되겠지요. 
종합대학과 교육대학의 통합은 교원을 양성하는 국가적인 시스템을 통째로 바꾸는 대사입니다. 이러한 대혁신은 엄청난 논의와 숙고를 거쳐야 하는데, 겨우 두 대학만의 합의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Q. 통합 절차 방식을 지적하시던데, 절차에 문제가 있나요? 

-절차의 공정성도 꼬집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통합 결정 과정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겁니다. 과정 자체가 매우 비민주적으로 해당 학생들이나 동문과의 토론 한 번 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4월 실시한 통폐합 찬반투표에서 대학 구성원 2022명 중 158명만 참여했습니다. 이 중 졸업생들의 의견은 전혀 고려된 적이 없고요, 학생들과 동문은 대다수가 통폐합을 반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견수렴 절차상의 문제가 됩니다. 
또한 대학평의원회 구성의 규정도 위반되었습니다. 규정 상 선출직 평의원은 구성단위별로 전체 구성원의 의견이 반영되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선출해야 함에도 평의회 의장이 평의원을 임의로 지정했습니다. 대학평의원회 심의 과정에서도 학생대표가 불참해 구성단위별 대표의 의견이 모두 반영되지도 않았죠.

Q. 부산대학교와 통합하지 않는다면, 교육부가 제기한 학령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다른 해결책이 있으신가요? 

- 학령인구 감소는 국가적인 걱정거리입니다. 교사와 학교의 수가 학생 수에 비해 많아지게 되면 곤란하니까 문제가 되겠는데요. 이것도 초중등과 대학을 따로 봐야 합니다. 초중등은 아직도 OECD 국가를 비교해 보면 학급당 학생 수가 많으니까 그걸 줄이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될 겁니다. 그런데 대학은 통합을 하든지 문을 닫아야 하는 현실이죠. 
그런데 대학도 교대와 일반대를 같이 보면 안 됩니다. 일반대학은 없애고 합쳐도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교대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이라 절대 없애서는 안 되고 종합대학에 들어간다고 해도 교육대학으로 존재해야 하잖아요. 그러면 굳이 일반대학에 들어갈 이유가 없지 않습니다. 종합대학에 들어간다고 해서 학생 수가 많아지고 교사 수를 줄이지 않아도 되고, 재정 문제가 모두 해결되는 게 아니잖아요. 교대가 많아서 문제가 된다면, 교대끼리 협의해서 통합을 하든지 방법을 찾는 것이 바른길 아닐까요?

Q.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 이건 모교를 살려야 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대한민국 초등교육이 망가지고 있다는 관점에서 봐야 합니다. 어느 상황에 처하더라도 초등 양성 교육대학교의 독립성만은 부여해야 한다는 이유에 주목해주세요. 초등교육은 종합대학의 다른 과와는 독립된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래야 제대로 된 초등교사를 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대학 설립 당시의 이념과도 맞닿아있어요. 만약 지금과 같은 상황이 대한민국 교육계에 확산된다면 초등교육 양성 자체가 허물어집니다.
세계가 주목하는 ‘대한민국 교육이 잘 되고 있다는 것.’ 여기에는 초등교육 양성기관, 중등교육 양성기관을 분리해놓은 곳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세계의 석학들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그런데 그 교육의 시초가 되는 초등교육 양성기관을 허문다는 건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는 겁니다. 부디 섣부른 결정으로 대한민국 초등교육이 망가지지 않기를 소원해 봅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