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發 수도권 전멸론에 "괴담 수준...내년 총선지형은 달라"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오른쪽부터), 이철규 사무총장, 박대출 정책위의장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 인근에서 열린 개방행사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l 정두현 기자] 여권이 최근 내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수도권 위기론'에 뒤숭숭한 모습이다.

최근 불거진 여당 수도권 위기설의 발원지는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 멘토로 알려진 신평 변호사의 발언이다. 신 변호사는 지난 3일 "국민의힘이 자체 여론조사를 했는데 수도권에서는 거의 전멸하는 참혹한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에 국민의힘 지도부는 즉각 "(자체적으로) 여론조사를 돌린 적 없다"고 일축했지만 당 안팎에서는 당 지도부가 이같은 여론조사에 뒤숭숭하다는 후문이 돈다.

실제로 국민의힘의 공식 루트로도 수도권 위기설이 거론되기도 했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지난 8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수도권 상황이 절대 낙관적이라고 보지 않는다"라며 "국민의 요구를 담아낼 수 있는 인물을 공천해야 하는데 어떻게 채워나가야 할 지 고민이 많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도 총선 253개 지역구 중 절반가량에 해당하는 121개 지역구가 수도권에 쏠려있는 만큼, 수도권 위기설을 엄중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21대 국회에서 수도권 전체 121석 중 97석은 더불어민주당이 깃발을 꽂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18석으로 압도적 열세에 있는 실정이다. 현재 여야 의석수 비율(2 대 8)만 보면 2 대 8로 여당이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지역구를 대거 복구할 수 있을지 여부는 미지수다. 다만 현안에 민감한 수도권 특성상 총선 전까지 정국 흐름이 어떻게 흘러가느냐에 따라 판세가 출렁일 수 있어 여야 유불리를 쉽게 관측하기 어려운 측면은 있다. 

수도권에 지역구를 둔 한 여당 의원은 "내년 총선에서 어떻게든 '수도권 딜레마'를 해소하지 못하면 과반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라며 "최근 여러 채널로 언급되는 수도권 위기설을 덮기보다는 엄중하게 받아들여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현재 민심 동향은 국민의힘에게 그리 비관적이지만은 않다. 오히려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8개월여 앞둔 시점에서 여당에 다소 우세한 민심 흐름마저 감지된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3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34%로, 21%의 지지율을 얻은 민주당을 13%포인트 격차로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간 민주당이 우세를 보였던 인천·경기 지역에서 여당(31%)이 민주당(26%)을 5%포인트 차로 따돌리며 반전 흐름을 탔다.

같은 날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서울에서 38%의 지지율로 민주당(29%)을 앞섰지만, 인천·경기에서는 민주당이 33% 지지율로 국민의힘(26%)을 7%포인트 격차로 앞서는 등 여야 정당지지율이 수도권 혼조세를 뗬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일요서울과의 취재에서 "일부 여권 인사들이 총선 전멸론이니 뭐니 하는데, 우리 당이 수도권에서 필패한다는 관측은 그야말로 억측"이라며 "수도권은 이슈에 극도로 민감한 지역구다. 비록 최근 선거(역대 총선)에서 보수정당이 의석수를 많이 내어준 경향이 있지만, 내년 총선은 완전히 다른 흐름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수도권 위기설에 선을 그었다.

여당의 또 다른 초선 의원도 "수도권 전멸론에 동의하기 어렵다. 괴담 수준"이라며 "최근 나오는 여론 지표들만 봐도 현안 중심으로 민심 변동성이 커진 것을 확인할 수 있지 않나. 하물며 국민의힘이 수도권에서 전멸한다? 이런 류의 전망은 침소봉대된 것이라고 본다"고 궤를 같이했다.

한편, 일각에선 내년 총선 출마가 유력시되는 여당 주력 인사들 상당수가 영남권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보니 '인물론'에서 만큼은 수도권 공백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는 최근 여당의 한동훈·원희룡 장관 등 '스타 장관' 총선 발탁론이나 당내 비주류인 비윤(비윤석열) 총동원론으로도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상기 여론조사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