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덕연 사태 이어 미수거래 의혹까지…. 신뢰 추락 불가피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키움증권이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SG증권발 무더기 폭락 사태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은 지 불과 7개월 만이다. 이번에는 키움증권에서 100개가 넘는 계좌를 동원해 주가조작을 한 일당이 구속됐다.

주식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신용으로 먹고사는 금융업계에서 짧은 기간 내에 두 번의 실수를 하는 게 말이 되느냐?”, “내 주식 환불해달라” 등의 아우성이 커지고 있다.

- 주가조작 이어 통정매매 조작 사건에도 이용당해
- 증권가 초긴장…금감원 관리·감독 미흡 도마 위


지난 23일 키움증권의 주식은 전일 대비 2만4000원(23.93%) 하락한 7만6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주가가 급락한 이유는 앞서 발생한 영풍제지 하한가로 인해 고객 위탁 계좌에서 고액의 미수금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은 지난 20일 기타경영사항(자율 공시)를 통해 "특정 종목 하한가에 따른 위탁 계좌 미수금(이) 발생했다"며 "영풍제지 하한가로 인해 고객 위탁 계좌에서 미수금 4943억 원이 발생했다"라고 밝혔다.

- 리스크 늪에 빠진 키움, 미수금 회수할 수 있을까?

문제는 이 미수금이 키움증권의 상반기 순이익(4258억 원)보다 높다는 것이다.

키움증권은 "반대매매를 통해 미수금을 회수할 예정이며 고객의 변제에 따라 최종 미수채권 금액은 감소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추후 당사의 손실과 관련한 확정 사항이 있으면 재공시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재 영풍제지가 거래정지된 상태이기에 자금회수는 쉽지 않아 보인다. 또, 충당금과 손실 가능성을 고려하면 실적 악화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키움증권의 부실한  내부 통제가 주가조작 세력에게 힘을 실어주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전자공시시스템 캡쳐
전자공시시스템 캡쳐

앞서 영풍제지 주가가 급등하자 주요 증권사들은 지난 7월까지 영풍제지의 증거금률을 줄줄이 100%로 상향 조정했는데 키움증권은 지난 18일까지 증거금률을 40%로 유지하다가 19일에서야 100%로 높였다.

금융위원회도 지난 18일 '영풍제지 등 2개 종목 주가 급락 관련 조치 안내'를 통해 "18일 영풍제지ㆍ대양금속 등 2개 종목이 하한가를 기록했다"며 "금융위ㆍ금감원ㆍ거래소는 금일 2개 종목 주가 급락과 관련해 신속한 거래 질서를 정립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해 매매거래정지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거래소는 관련 2개 종목에 대해 19일부터 해제 필요시까지 매매를 정지하고 조회공시를 요구했다"라고 덧붙였다.

검찰도 지난 9월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패스트트랙(신속 수사 전환)으로 이 사건을 넘겨받아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수사를 벌여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일당 4명을 구속했다. 김지숙 서울남부지검 영장 전담 부장판사는 이들에 대한 심문을 진행한 뒤 "증거 인멸 및 도망할 염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당국과 검찰은 범행을 저지른 일당들이 체포된 사실이 알려지자, 공범들이 지난 18일 장 개장과 동시에 주식을 대량 매도해 영풍제지 주가가 하한가를 기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양금속도 같은 날 오후에 하한가에 들어섰다.

이와 관련해 영풍제지와 최대주주인 대양금속은 보도자료를 통해 "회사나 관계자가 압수수색을 받은 사실은 없고 검찰이나 금융 당국에서 불공정거래 의혹과 관련해 통보받은 사실이 없다"며 회사 차원의 연관성을 일축했다.

- 금융감독당국의 곱지 않은 시선

이런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키움증권의 리스크 관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키움증권은 올해 상반기에도 CFD(차액결제거래) 사태 및 김익래 다우키움그룹 회장 SG(소시에테제네랄) 사태 연루 의혹이  불거지면서 개인 투자자 점유율 1위 증권사로서 쌓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라덕연(사태) 이후에도 계속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게 (키움증권이) 주가조작 세력들에게 이용당하는 건지 아니면 무능해서 못 잡아내는 건지 금감원의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미수금 사태 파문 확산이 불가피한 만큼 증권업계는 차액결제거래(CFD) 규제 등 후폭풍이 커지지 않을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한 이상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은 금융당국도 책임이 무겁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당국이 올해 들어 증권사들에 철저한 리스크 관리를 주문한 만큼 추가 수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도 남아 있다. 금융당국은 "(앞으로도) 불공정거래 가능성이 의심되는 종목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혐의 적발 시에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엄중히 조치하고 있다"라고 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