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삭감이 확정되자마자 내부에서 대책회의가 열렸다. 신규 사업은 아예 편성할 수가 없고, 박사후연구원이나 학생연구원은 상당수 내보내야 할 상황이다.” 윤석열 정부가 내년도 R&D (연구개발) 예산을 13.9% 삭감한다는 발표가 난 뒤 정부출연연구소 고위관계자가 한 말이다. 그는 대통령이 과학기술을 강조하는데 정작 예산을 수십년 만에 대폭 삭감하는 정 반대의 일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으니 이해할 수가 없다고도 했다. 별다른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가 짧은 기간에 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었던 비결은 뛰어난 기술력을 가졌기 때문, 이 지위를 유지하려면 앞으로도 기술개발에 돈을 써야 하는 건 당연하다. 국난이라 할 1997년 외환위기 때마저 많은 과학자가 이럴 때 R&D 예산을 줄이는 건 교각살우의 우를 범하는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인 적 있는데, 우리나라가 21세기 들어 G7에 맞먹는 세계적인 강국이 된 비결도 R&D 예산을 지속적으로 늘린 덕분이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1991년을 제외하면 국가 차원의 R&D 예산이 삭감된 적은 한 번도 없어서, 200810조원을 넘긴 데 이어 박근혜 정부 때는 16조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연구개발 분야가 만능은 아니다. 쓸 곳은 많고 쓸 돈은 부족한 현실에서, 연구개발비라고 무한정 늘릴 수는 없다는 얘기다. 2010년대 들어 대한민국은 이미 연구개발비를 가장 많이 쓰는 나라였으니 말이다. “우리나라 GDP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순위는 20132위에서 20141, 20152, 20162위였다.” 그 이듬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다. 5년간 국가부채가 400조 늘어나고, 거의 모든 분야에서 돈 잔치가 벌어진 그 시절, R&D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2017195천억이던 국가 R&D 예산은 202229조원을 넘어섰다. 불과 5년만에 10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예산이 늘어난 만큼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높아졌다면 모르겠지만, 기술력이란 게 돈을 무한정 쓴다고 좋아지는 건 아니었다. 그 대신 눈먼 돈을 노리는 세력만 파리떼처럼 몰렸다. 반일 광풍이 불던 2019, KBS가 보도한 주인 없는 돈을 잡아라R&D 브로커 기승이란 기사를 보자. “특별법까지 만들며 20년 동안 애지중지 키워온 소재·부품 산업이 일본의 수출 규제 한방에 맥없이 흔들리자, 정부는 앞으로 5년 동안 소재·부품 연구개발에 5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예년에 비하면 배 가까이 늘어난 금액인데요. 시장의 반응은 뜨겁습니다.” 갚을 필요도 없고, 결과가 미흡해도 가능성을 봤다고만 하면 넘어갈 수 있는 돈, 이런 돈이 넘쳐날 때 못받는 게 바보다. 하지만 이 돈을 따내려면 준비할 서류가 준비할 서류가 많으니, 브로커가 이 작업을 대신해주고 연구개발비의 6%를 받는다는 게 KBS 기사내용이었다.

당연한 얘기지만, 연구비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일도 빈번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R&D) 자금'을 부정사용한 사례가 최근 3년간 급증한 것으로 18일 조사됐다.” 브로커가 돈을 따주고, 기업은 그 돈을 빼돌려 엉뚱한 곳에 쓰는 상황에서 유의미한 성과가 나올 리가 있을까? 당시 국제사회에선 <코리아 R&D 패러독스>라는 말이 나돌았단다. 한 해 30조에 달하는 돈이 R&D 분야에 쏟아지고, R&D 성공률도 99.5%에 달하지만, 실제 사업화에 성공하는 비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턱없이 낮다고 조롱하는 말이었다. 사업화 성공률은 영국 70.7%, 미국은 69.3%, 일본도 54.1%지만, 우리는 20% 언저리에 불과했으니, 조롱할 만도 했다. 오죽하면 문재인 대통령도 이런 말을 했을까? “국가가 출연한 연구소의 연구과제 성공률이 무려 99.5%에 달합니다. 저는 이 수치가 자랑스럽지 않습니다.” 자랑스럽지 않다면 그때라도 정책을 바꿨어야 하지만, 문재인의 선심은 임기 말까지 계속됐다. , 다시 물어보자. 저 무의미한 돈잔치가 윤석열 정부에서도 계속되는 게 맞는가? R&D 예산 삭감이 나라의 미래를 망치는 폭거라고 우기는 민주당 분들께 다음 질문을 드린다. 그렇게 R&D가 중요하다고 하는 분들이 왜 후쿠시마 처리수 방류 때는 과학자들의 말을 무시한 채 선동만 해댔니? 니들, 혹시 RD (Real Deungsin)

외부필자의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