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카카오가 뉴스검색 선택권을 1300여개 매체에서 CP(컨텐츠제공사업자)사인 150개로 줄이면서 검색 서비스량이 확 줄었다. 다음은 뉴스소비자가 뉴스검색시 상단에 뜨는 선택권을 전체로 하면 기존대로 검색된다고 주장하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 일일이 소비자가 검색 기본 디폴트가 CP사로 돼 있는데 전체를 선택할 가능성도 희박하지만 휴대폰의 경우에는 뉴스 소비자가 전체로 설정을 해둬도 30일 이후에는 다시 CP사만 검색되도록 만들어 매달 전체로 설정해야하는 수고스러움을 이겨내야 한다. 대체적으로 일반인들의 뉴스 검색의 수단이 휴대폰의 경우 전체의 80%에 육박하고 데스크탑 검색량은 20%대 수준인 현실에서 다음카카오의 주장은 눈가리고 아웅식변명일뿐이다.

무엇보다 돈을 주고 뉴스를 사는 CP사만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은 언론사 길들이기이자 기득권 저널리즘의 전형이다. 다음을 인수한 카카오가 현 정권으로부터 미운털이 박혀 고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짜뉴스 척결기업홍보비 절감차원에서 민간 기업으로서 어쩔수 없이 전방위적인 강요(?)와 설득을 받아 수용한게 아니냐고 이해해도 지킬 것은 지켜야 한다.

누가봐도 뉴스 검색량을 제한한 것은 권력을 쥔 정권과 금력을 쥔 대기업들의 밥그릇 지켜주기라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다. 검색 매체가 적을수록 기사노출도 적을 수밖에 없고 기득권입장에서는 관리가 수월해져 언론을 입맛에 맞게 길들이고 싶은 유혹에 빠지기 쉽다.

이뿐만이 아니다. 뉴스량 제한이 다음카카오에 이어 포털 1위를 달리는 네이버까지 가세할 경우 그 후폭풍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네이버 CP사는 89, 검색 제휴사는 900여 곳이고, 다음 CP사는 150, 검색 제휴사는 1300곳 정도로 알려져 있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 동시에 검색되는 중복 매체를 제외한다고 해도 최소 전국적으로 검색제휴사가 1500곳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런데 다수 검색 제휴사가 종이를 발행하지 않는 인터넷 기반 매체로 네이버까지 검색을 CP사로 제한할 경우 1000개 이상 다수의 영세 매체는 언론시장에서 퇴출당할 공산이 높다. 광고매출이 수익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정부광고와 기업광고가 포털에 검색이 안된다는 명분을 들어 홍보비를 삭감하거나 끊을 경우 생존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더 큰 문제는 청년 실업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될 공산이 크다. 중소 언론사에 종사하는 기자들의 경우 다수가 2030 MZ세대이고 4050 중년층도 상당하다. 한 회사에 최소 10명이 근무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만 명이상이 실직자로 전락할 공산이 높다. 이는 최소로 잡은 인원이고 가정이 있는 사람들까지 치면 그 경제적 고통은 상당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필자 주변에 놀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기자하면 된다고 할 정도로 기자직의 문턱이 낮아졌고 또한 취업할 회사도 많아졌다. 최근에도 지인들이 신입이든 경력이든 사람 좀 소개시켜달라는 주문이 끊이질 않는다.

물론 가짜뉴스는 퇴출의 대상이지만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을 태워서는 안될 일이다. 그리고 가짜뉴스 퇴출은 권력과 금력이 선봉에 서는 게 아닌 언론사 스스로 각성하고 제도적 정비를 통해 풀어야 할 숙제다. 그런 연후에 정부와 기업이 팩트체크에 충실한 매체를 독려하는 것이 맞다.

그리고 대안은 그동안 언론계에서 꾸준히 제기해왔듯이 포털이 외부 제휴평가위를 통한 CP사니 스텐드니, 검색제휴사니 하며 뉴스 등급을 매기지 말고 구글식 뉴스검색시스템을 도입하면 정권이나 금력에 휘둘릴 일도 없고 오직 뉴스 소비자들이 판단에 따른 뉴스 선택을 하도록 하는 게 민주주의 시대에 걸 맞는 방식이다. 그럴 경우 언론사들 역시 이념이나 자극적인 기사, 속보전을 내세우지 않고 건전한 컨텐츠 경쟁으로 나아갈 것이고 그 과정에 가짜뉴스는 자연스럽게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