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외식업계 가격인상... 근본적 문제 해결 필요

최상목(왼쪽 세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최상목(왼쪽 세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4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지훈 기자] 끝없이 오르는 물가와 더불어 외식업계들의 연이은 가격 인상 소식에 서민들은 고통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물가안정을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2024년 상반기 중 서민 생활 밀접 품목 관련 불공정 행위를 집중 점검해 물가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하지만 외식업계의 물가 안정화에 대한 대책은 있는지 일요서울이 알아봤다.

- 尹정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물가 안정 급선무
- 소줏값 인하... 소비자 체감 어려울 전망

범정부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세우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2024년에도 물가 상승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계속되는 것이 현실이다. 서민의 삶에서 뗄 수 없는 외식 물가는 최근 3년간 상승 기조를 보인다. 가격 인상 흐름이 이어지는 주된 원인으로 ‘식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임대료·관리비 상승’, ‘동종 업계 간 경쟁 극대화’ 등으로 꼽히고 있다.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찾고, 즐겨 먹는 음식은 햄버거와 치킨이다. 햄버거(소비자 선호도 5개 상위 업체)와 치킨(소비자 선호도 6개 상위 업체) 업체들은 최근 3년간 가격 인상을 각 3.8회, 1.8회 단행했다. 가장 최근에는 BHC가 지난해 12월 말 85개 제품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bhc의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영업이익률은 30.1%로 다른 브랜드와 업종 대비 유난히 높다"며 "2018년 대비 2022년의 매출원가 상승률은 5.7%이지만, 순이익률은 31.8%나 높아졌다"고 비판했다.

한편 bhc는 상생간담회에서 가격 인하를 주장한 가맹점주는 한 명도 없었고, 이번 가격 인상은 가맹점주들 요청을 반영한 결정이었다며 소비자단체협의회 성명을 반박했다.

대부분의 인기 프랜차이즈 치킨은 2만 원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부대비용인 배달비까지 포함하면 3만 원에 육박한다. 서민들은 ‘가성비’ 치킨을 찾게 되는 상황이고,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저렴한 치킨을 구매한다.

일각에서는 ‘식자재 가격 상승’, ‘인건비 상승’, ‘임대료·관리비 상승’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외식업계들이 가격 인하를 통한 물가 안정을 위해 범정부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새해 주류값 인하 체감되나

정부가 새해부터 물가안정을 위해 국민들이 애용하는 주류인 소주에 ‘기준 판매 비율(주류세 부과 기준인 과세표준을 낮추는 일종의 세금 할인율)’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주류업체들이 공장 출고가에 이를 선제 반영하고 나섰다.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가정시장 소주 가격은 연말연시 재고가 소진되는 대로 소매 가격 역시 소폭 인하될 전망이다. 

정부 2024년 정책방향 [뉴시스]
정부 2024년 정책방향 [뉴시스]

주종별 기준 판매 비율은 소주 22.0%를 비롯해 위스키 23.9%, 리큐르 20.9%, 일반증류주 19.7%, 브랜디 8.0%로 정해졌다. 낮아진 공장 출고가가 소비자들의 소매 가격에 적용되기까진 오랜 시간이 걸리진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주류업체의 선제적인 인하 조치에도 세금이 깎인 만큼 출고가가 내려가는 것이기에 소비자들이 체감하긴 어려울 것 같다는 전망이 주를 이룬다. 

박리다매가 가능한 편의점·대형마트 등에서 소폭 인하를 예상할 수는 있지만, 식당가 등에서 가격 조정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전기세, 임대료, 인건비 등 부대비용을 주류에 포함하는 식당에서 몇십 원 낮아지는 출고가를 반영해 가격을 다시 책정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지난해처럼 삶을 옥죄는 물가상승?

지난해 서민들을 가장 힘들게 한 것은 요동치는 물가였다. 고물가에 고금리 여파까지 더해지면서 서민들은 숨 막히는 한 해를 보낼 수밖에 없었다. 2024년에 대한민국 경제의 활력을 보여주는 산업 활동 지표가 최근 수출 회복세에 힘입어 다시 반등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연간 소비자물가 지수 통계자료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1월(3.3%)까지 4개월째 3%대를 유지했다. 2023년 소비자물가는 등락을 보여주는 롤러코스터 곡선을 그렸다.

2022년 하반기부터 뛰었던 물가는 2023년 1월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 5.0%를 기록한 후 2~3월 4%대, 4~5월 3%대, 6~7월 2%대를 기록하며 점차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승과 농식품 가격 폭등세로 8월 3%대(3.4%)로 다시 상승 폭이 커진 후 11월까지 4개월째 30%대를 기록하는 등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당국이 예상하는 연간 상승률은 3.6%다.

갑진년을 시작하는 尹정부 ‘2기 경제팀’의 사령탑에 오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신년사에서 "물가 안정 기조를 조속히 안착시키고 수출 회복 흐름을 모든 분야로 확산시켜 민생 경제 회복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