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당권 장악 ‘김무성당’ 만든다
서청원에겐 ‘막판 사고칠까’ 전전긍긍

[일요서울 | 홍준철 기자] 7.14 전당대회에서 핵심 관전포인트는 청와대와 당의 관계 설정부분이다. 당 대표 최고위원이 유력한 서청원, 김무성 중 누가 당권을 거머쥐느냐에 따라 당청 관계는 확연하게 달라질 전망이다. 일단 ‘친박 주류’의 맏형격인 서 의원은 “개조를 통해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새누리당이 주도하며 청와대와의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수평적 긴장관계로 당·정·청 관계를 재정립하고 국회정에 무한 책임을 지겠다”고 밝히고 있다. 반면 김 의원은 ‘할 말은 하는 집권 여당을 만들겠다’면서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당·정·청 간 건강한 관계를 설정하겠다”고 말했다.

‘김무성 불가론’ VS ‘서청원 경계론’ 비등

서 의원은 청와대와의 협력과 소통, 상생에 방점을 찍었다면 김 의원은 정부의 비판 및 견제에 대한 의지를 숨기지 않고 있다. 결국 서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당의 목소리를 청와대에 전달하기보다는 청와대의 목소리를 당에 전달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김 의원은 당의 목소리를 청와대에 전달하는 데 비중을 두고 있는 셈이다. 아무래도 ‘대권’을 꿈꾸고 있는 김 의원이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자기 목소리’를 낼 공산이 높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청와대에선 김 의원보다는 서 의원이 당 대표가 되기를 내심 바라고 있지만 서 의원이 당권을 잡는다고 해도 안심할 수가 없는 형편이다. 집권 여당에 정통한 한 인사는 “서청원 의원의 경우 고령의 나이로 당 대표가 될 경우 다음 총선 공천과정에서 ‘한몫 잡자’는 식의 위험성이 있고 박 대통령보다는 이명박 대통령 정치 스타일과 맞는 코드”라며 “노회한 이미지도 당에게 도움이 될지 미지수”라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반면 청와대에서 김 의원 당 대표론 역시 쉽게 수용할 수 없는 처지다. 김 의원은 박 대통령을 정조준해 공격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차기 대권을 노리고 있다는 점에서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한 주요 현안마다 김 의원이 청와대와 각을 세울 경우 당에 매번 ‘손’을 내밀어야 하는 상황 역시 청와대로선 참기 힘들다.

이 인사는 “김 의원은 당 대표가 되는 순간 ‘자기 정치’를 바로 할 인사”라며 “지금은 참고 있지만 대표가 되는 순간 당을 ‘김무성당’으로 빠르게 전환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여의도에서 나도는 친박 살생부 명단이 현실화될 공산이 높다는 지적이다. 이럴 경우 청와대로선 집권 2년차에 ‘조기 레임덕’이 오고 ‘식물정권’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김무성 당 대표론’을 받아들이기기 쉽지 않은 배경이다.

청와대내 ‘김무성 당대표 불가론’에 외적인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올해초 발생한 ‘경주 대학생 참사’로 시작해 젊은 학생들이 대규모 희생을 불러온 ‘세월호 참사’까지 악재가 연이어 터졌다. 그러나 정부측의 미흡한 대응과 세월호 참사이후 안대희,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연이은 중도사퇴와 이에 따른 ‘세월호 참사’로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총리 연임, 그리고 해경 해체에 따른 ‘관피아 척결’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태로 민심뿐만 아니라 관심(관료조직)까지 박근혜 정권에게 등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민심·관심 정권 이반  ‘김무성 불가론’ 확산

그 후폭풍은 보수세력의 분열과 함께 박 대통령 지지도가 하락으로 이어졌다. 또한 ‘관피아 척결’과 ‘해경 해체’ 후폭풍으로 공무원 사회에 폭넓게 ‘반박근혜 정서’가 퍼져 있고 결과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공무원들이 밀집해 있는 충청권에서 여당 ‘참패’로 이어졌다.

정부부처에 다니는 한 고위인사는 “사실상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박근혜 정권의 조기 레임덕은 공무원에서부터 벌써 시작됐다고 보는게 맞다”는 평가를 내릴 정도로 공무원 사회가 얼마나 박 정권에 대해 험악한 지를 설명했다.

특히 이 인사는 “해경 해체 선언은 너무 즉흥적으로 나온 아이디어”라며 “만약 해경이 해체되지 않고 야당 정부조직안처럼 ‘외청’으로 남아 있게 될 경우 박 정권의 레임덕은 더 가속화될 공산이 높다”고 내다봤다.

세월호 참사에 따른 박 정권의 대처와 해법이 모두 잘못된 것으로 드러날 경우 박 정권은 위기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결국 민심과 관심 모두 박 정권에 우호적이지 않을수록 비박 비주류인 김 의원에 대한 청와대 불가론은 더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또한 전당대회 막판 친박 주류를 결집시키는 응고제로 작용할 공산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mariocap@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