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정책, “맞춤형 홍보 필요해”

취업난. [뉴시스]
취업난. [뉴시스]

[일요서울 | 박정우 기자] 지난 6일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연구원)이 조사한 ‘2022년 서울청년패널 기초분석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의 자산 빈곤율이 55.6%로 밝혀졌다. 이는 19~36세 서울 거주 청년 5083명을 대상으로 조사됐다. 

자산 빈곤이란 균등화 가처분소득 중위소득 50%의 3개월 치 미만 기준, 즉 자산 규모가 396만7500원 미만인 경우다. 특히 청년 1인 가구의 경우에는 자산 빈곤율이 62.7%로 나타나며 서울에 거주하는 1인 가구의 취약성이 드러났다.

조사에 따르면 생활비 부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한 청년은 27.7%였고, 생활비 부족 시 해결 방안은 41.2%가 부모로부터 무상 지원, 17.7%가 저축이나 예금·적금 해약을 통해 해결했다고 답변했다.

일하는 청년 65.8%, 우울 증상 34.7%

서울 거주 청년 중 근로 중인 청년은 65.8%로 사실상 청년 4명 중 1명은 일을 하지 않고 있었다. 이어 청년 34.7%는 우울 증상을 겪고 있었다. 그중 비재학 미취업 청년의 44.3%, 실업 청년의 42.0%가 우울 증상을 겪는다고 답했다.

연구원은 “2021년과 2022년 모두 응답한 3762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의 삶의 변화를 주요 지표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소득·자산 빈곤 등 경제와 주거 지표, 니트(NEET) 지표, 긍정적 미래전망 지표가 지난해 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화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청년을 대상으로 한 소득 지원과 고용 지원을 늘려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한편 서울시는 ‘약자와의 동행’ 슬로건을 바탕으로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청년문화패스’ 등 청년 지원 복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청년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노 모(27, 남) 씨는 “사실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말이 와닿지는 않는다. 그나마 기억나는 정책은 한강을 개발한다는 사업이었던 것 같다.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무직자 류 모(33, 남) 씨는 “실직 후 오랫 동안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고용 정책이 있다고는 하는데, 어디서 신청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정보력이 좋은 사람들만 누리는 기분이다”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책의 질도 중요하지만, 적재적소에 홍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말 필요한 사람들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체계가 더욱 개선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