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서울 | 강혜수 기자] 지난해 12월 3일 시작된 비상계엄·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여야는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와 추가경정예산(추경), 연금개혁, 인공지능(AI) 등 주요 정책 현안을 두고 충돌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2월 마지막 주와 3월 첫주를 지나며 민심 흐름은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추적해봤다.
- ‘계엄·尹 탄핵’ 정국 지속…중도층, 여권에 민심 이반 현상 뚜렷
- 차기대권 이재명 독주 흐름속 개헌‧명태균특검법 등 이슈 부상
정국은 2월 말과 3월 초에도 12·3 비상계엄·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이 계속되면서 극한 혼돈을 계속 이어갔다. 이 기간 진행된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중도층에서 현 여권에 대한 민심 이반 흐름이 뚜렷하게 감지됐다.
차기 대권 구도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독주를 이어가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격차를 두고 뒤를 따르는 흐름이 계속 유지됐다.
‘尹 탄핵’ 찬성 60%·반대 35%, 중도층선 탄핵찬성 71%·반대 22%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선고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다수의 여론조사 결과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는 의견이 반대하는 의견보다 많았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진행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 윤 대통령 탄핵에 대해 ‘찬성’ 60%, ‘반대’ 35%였다.
중도층에서는 71%가 탄핵에 찬성했고, 22%는 탄핵에 반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도층을 직전 조사(2월 25∼27일)와 비교하면 탄핵 찬성은 1%포인트(p) 상승했고, 반대는 1%포인트 떨어졌다. 무당층은 탄핵 찬성 66%, 반대 13%였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서는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헌재가 탄핵을 인용해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 한다’는 의견은 56%, ‘탄핵을 기각해 직무에 복귀시켜야 한다’는 의견은 37%로 나타났다.
탄핵을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주보다 2%포인트 증가했고,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은 1%포인트 하락했다. NBS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국민의힘 36%·민주당 40%, 중도층선 국힘 25%·민주당 46%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다소 앞서는 것으로 집계된 여론조사 결과들이 공개된 가운데 중도층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에 비해 우세한 흐름을 보였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26∼28일 진행한 정당 지지도 조사(95% 신뢰수준에 ±2.5%포인트) 결과 국민의힘 37.6%, 민주당이 44.2%로 조사됐다. 양당 간 격차는 6.6%포인트로, 5주 만에 오차범위 밖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도는 일주일 전 조사와 비교해 3.1%포인트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5.1%포인트 하락했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층이라 답한 응답자의 45.8%는 민주당을, 30.1%는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중도층에서 민주당은 0.2%포인트 올랐고, 국민의힘은 5.2%포인트 떨어졌다.
이밖에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은 2.6%, 진보당은 0.8%,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8.8%였다.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진행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 36%, 민주당 40%로 집계됐다. 직전(2월 25∼27일)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동일했고, 민주당은 2%포인트 올랐다.
이밖에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은 각각 2%, 진보당과 이외 정당·단체는 각각 1%,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18%였다.
중도층에서는 국민의힘 25%, 민주당 46%였고,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가 23%로 집계됐다.
직전 조사 때는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중도층 비율은 22%였지만 이번 조사에서 25%로 상승했다. 민주당에 대한 중도층 지지율도 40%에서 46%로 올랐다.
차기 대권구도, 이재명 독주·격차 두고 김문수 2위 지속
차기 대권 구도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선두를 달리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격차를 두고 뒤를 잇는 흐름에 변동이 없었다.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3∼4일 실시한 차기 대통령 후보 적합도 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결과, 이재명 대표가 43.7%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문수 장관이 18.2%로 뒤를 이었다. 이 대표는 직전 조사(2월 1주차) 대비 2.3%포인트 올랐고, 김 장관은 2.1%포인트 하락했다.
이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7.4%, 오세훈 서울시장 5.4%, 홍준표 대구시장 5.0%,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 2.1%, 우원식 국회의장·유승민 전 의원 각 1.8%,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낙연 전 국무총리 각 1.6% 등 순으로 집계됐다. 또 김동연 경기지사는 1.2%,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1.0%, 김경수 전 경남지사 0.8%, 김부겸 전 총리 0.7%였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26∼28일 여야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46.3%로 선두를 달렸다. 이는 직전 조사(2월13∼14일) 보다 3.0%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이어 김문수 장관은 0.8%포인트 상승한 18.9%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1.2%포인트 오른 6.9%였다.
이어 홍준표 대구시장 6.8%, 오세훈 서울시장 5.1%, 유승민 전 의원 2.1%로 조사됐다. 홍 시장은 0.3%포인트, 오 시장은 5.2%포인트, 유 전 의원은 0.4%포인트 각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낙연 전 총리는 1.7%, 김동연 경기지사는 1.4%, 김부겸 전 총리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각각 1.3%로 조사됐다.
중도층 지지율은 이 대표 51.5%, 김 장관 15.0%, 홍 시장 7.1%, 한 전 대표 5.6%, 오 시장 4.3%였다.
정권교체 55.1%, 명태균특검법 찬성 60%, 개헌 필요 54%
주요 정치 현안과 관련해서는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 조사와 명태균 특검법, 개헌 등과 관련된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26∼28일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야권에 의한 정권교체’는 55.1%, ‘집권 여당의 정권 연장’ 의견은 39.0%였다.
일주일 전 조사와 비교해 정권 교체론은 6.1%포인트 올랐고, 정권 연장론은 6.3%포인트 떨어졌다. 지난주 3.7%포인트였던 두 의견 간 차이는 16.1%포인트로 1주일 만에 오차 범위 밖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층에서는 정권 교체(60.6%)가 정권 연장(33.6%) 의견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정권 교체론은 4.1%포인트 올랐고, 정권 연장론은 4.7%포인트 하락했다.
앞서 언급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NBS 결과에서는 ‘명태균 특검법’에 대해 ‘찬성한다’는 답변은 60%, ‘반대한다’는 29%로 나타났다.
또 한국갤럽(지난 4∼6일) 조사에서 현행 대통령제를 바꾸는 개헌이 필요한지 물은 결과 ‘필요하다’ 54%, ‘필요하지 않다’ 30%였다. 16%는 의견을 유보했다. 또 대통령 임기로는 유권자의 64%가 ‘4년 중임제’를, 31%는 현행 ‘5년 단임제’가 더 좋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관련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