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2억원...1만5,627명 대상
지급 대상 농가 단위에서 농업인 단위로 확대
[일요서울 | 전북 전광훈 기자] 전북 남원시가 지난해보다 3억원 늘어난 총 72억원의 '2025년 농민 공익수당'을 17일부터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 인원은 1만5,627명으로, 지난해 보다 4,097명 증가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급 대상을 농가 단위에서 농업인 단위로 확대하고, 주소 및 경영체 등록 요건을 2년에서 1년으로 완화해 청년·여성 농업인 등 이전 제도에서 소외되던 계층의 참여가 증가했다.
지급은 1인 경영체 60만원, 2인 이상 경영체 1인당 30만원을 남원시 전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무기명 선불카드로 이뤄지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해 카드를 수령할 수 있다.
사용 기한은 1년으로, 다만 유흥·사행업, 전자상거래, 교통분야에는 카드 사용이 제한된다.
최경식 남원시장은 “농민 공익 수당은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높여주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농업 환경 조성을 조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특히 선불카드 지급 방식을 통해 지역 내 경기활성화 촉진 등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급을 받기 위해서는 농업경영체 등록 및 일정 기간 이상 실제 영농에 종사하는 조건이 필요하다"며 "신청 연도의 전전년도 농업 외 종합소득금액이 3,700만 원 미만이어야 하며, 부부·직계존비속 등 동일 주소지 내 가족은 한 명만 지급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 시장은 끝으로 "앞으로도 농업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강조한 뒤, "이번 공익수당 조기 지급이 추석 명절을 앞둔 농업인의 소득 안정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같은 날 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주관하는 ‘2026년 축산악취개선사업’ 공모에 선정돼 총 사업비 19억 4000만원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시는 지역 여건을 반영한 축산악취개선 사업계획을 자체 수립하고 지난 2021년부터 올해인 2025년까지 60억여원을 지원해오고 있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축산농가 28개소와 퇴·액비 유통업체 2개소 등 총 30개소에 송풍식퇴비사, 액비저장조, 액비운반차량 등의 지원으로 악취저감 부담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