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리스크에 더해 주주와의 갈등 ‘첩첩산중’ 

세방전지 CI. [제공 : 세방전지]
세방전지 CI. [제공 : 세방전지]

[일요서울 l 이지훈 기자] 배터리 업체 세방전지가 미국 라스베이거스 리조트 개발 사업에 158억 원을 투자했다가 전액 손실을 확정짓고도 주주들의 해명 요구를 거부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회사는 “공시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만 반복하며 책임 있는 설명을 피하고 있어 주주들의 불신이 증폭되는 상황이다. 소액주주연대는 경영진의 충실의무 위반과 직무유기를 문제 삼으며 금감원에 정식 조사를 요청했다. 앞서 122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 논란이 불거진 데 이어 또다시 경영 투명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파장이 커지는 상황이다.

-회사 측 “공시사항 아냐”... 주주 “직무유기” 반발
-자사주 매입 논란 이어 투명성 논란 재점화


지난 17일 세방전지 소액주주연대(대표 김경식)는 금감원에 세방전지의 투자 손실 경위와 경영진 책임 여부를 철저히 조사해 달라는 민원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주주연대에 따르면, 세방전지는 2019~2020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더 드루(The Drew)’ 리조트 개발 사업에 중순위 채권 형태로 158억 원을 투자했다. 그러나 시행사가 부도 처리되면서 원금 전액이 날아갔고, 뒤늦게 투자 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지만 1·2심에서 잇따라 패소해 회수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졌다.

주주연대는 회사에 수차례 공식 서한을 보내 투자 배경과 리스크 관리 과정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으나, 세방전지 측은 “공시사항이 아니다”라는 답변만 반복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주주연대는 “막대한 손실에도 해명조차 거부하는 것은 명백한 충실의무 위반이자 경영진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122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논란에 이어 세방전지의 경영 투명성에 다시 한 번 의문을 제기한 사례라는 점에서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 김경식 주주연대 대표는 “회사가 불투명한 의사결정을 은폐하려 한다”며 “금감원 조사와 별도로 주주대표소송을 통해 법적·경제적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해당 민원을 접수해 담당 부서를 배정하고 사실관계 검토에 착수한 상태다. 주주연대는 금감원에 ▲투자 의사결정 과정 전반 조사 ▲충실의무 위반 여부 검토 ▲주주대표소송 제기 가능성에 대한 유권해석을 공식 요청했다.

한편 세방전지는 지난해 매출 2조595억 원을 올려 연매출 2조 원을 처음 넘어서는 등 좋은 분위기를 이어가나 했지만, 올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올 상반기 매출에 타격을 입었다.

업계에 따르면 세방전지는 통상임금 협상 타결에 따른 일시적 비용 증가와 미국 관세 리스크로 인한 수출 물량 감소로 상반기 실적이 다소 주춤했다. 그러나 회사는 이를 단기적인 환경 요인으로 보고, 중장기적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북미 시장 주요 고객사들과의 안정적 공급망 강화를 위해 미국 현지 유통 거점 설립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공급망 신뢰도 제고를 동시에 달성하며, 미주 전역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내부적으로는 생산성 향상과 원가 구조 개선을 위한 혁신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세방전지는 비용 증가 요인을 철저히 관리하는 동시에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설비 투자(CAPEX)와 연구개발(R&D)에 자원을 투입해 미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세방전지 관계자는 “올해 다양한 도전 과제가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며 “미국 현지 거점 확보, 경영 효율화, 기술 혁신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주주와 고객, 임직원 모두에게 신뢰받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